항목 ID | GC09500844 |
---|---|
영어공식명칭 | Seocheon Bokji Maeul |
이칭/별칭 | 서천어메니티복지마을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302번길 88-12[종천리 37-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경욱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4월 - 서천군 장애인종합복지관 준공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11월 - 서천군립노인요양병원 준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8년 11월 - 서천군 노인복지관 준공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8년 11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3월 - 서천복지마을 서천군 장애인 보호 작업장 개관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4월 - 서천복지마을 치매 노인 주간 보호소 위탁 운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7년 2월 - 서천복지마을 서천군 노인 요양 병원 방문 간호 서비스 실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2년 3월 - 서천복지마을 어르신 종합 상담 센터 완공 |
현 소재지 | 서천복지마을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302번길 88-12[종천리 37-7]![]() |
성격 | 종합 복지 단지 |
면적 | 124,457㎡ |
전화 | 041-950-1001 |
홈페이지 | http://www.scbokjitown.or.kr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종천리에 있는 종합 복지 단지.
[개설]
서천복지마을은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운영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지역 사회 통합 돌봄 종합 복지 단지이다. 전국 최초, 최대의 종합 복지 단지이다.
[건립 경위]
서천복지마을은 2008년 11월 개관하였으며, 노인 복지관, 노인 요양 시설, 장애인 종합 복지관 등 총 11개 문화·복지 시설을 조성·운영하고 있다. 복합 단지는 민간 자본 72억 원을 포함하여 300억여 원을 들여 착공 5년 만에 준공하였으며, 부지 면적 12만 4000여㎡에 노인 복지 회관, 노인 요양 시설, 노인 전문 요양 병원, 노인 전용 주택, 장애인 종합 복지관 등을 갖추고 있다.
[변천]
서천군은 2003년 농어촌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종합 복지 사업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기반 조성 사업을 시작하였다. 2006년 4월 서천군 장애인종합복지관과 2007년 11월 서천군립노인요양병원을 차례로 준공하였다. 천주교 대전교구는 서천군과 계약을 맺고 2008년 8월부터 위탁 운영한다. 2008년 11월 노인 요양 시설 및 서천군 노인복지관을 준공하고, 서천어메니티복지마을을 개관하였다. 2010년 3월 서천군 장애인 보호 작업장을 개관하였다. 2015년 4월 치매 노인 주간 보호소를 위탁하였고, 2017년 2월 서천군 노인 요양 병원 방문 간호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2022년 3월 어르신 종합 상담 센터를 완공하였다.
[구성]
서천복지마을은 노인 여가 복지 시설로 서천군 노인복지관을 이용 인원 500명 규모로 운영하고 있다. 서천군 노인 요양 시설을 이용 인원 99명, 직원 수 77명 규모로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 지역 사회 재활 시설로 서천군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용 인원 200명, 직원 수 23명 규모이다. 서천군 장애인 보호 작업장은 35명 이용 인원에 직원 6명 규모로 운영하고 있다. 서천군립노인요양병원은 197병상 규모에 직원 107명이 근무하고 있다. 모든 시설은 대전교구 천주교회 유지재단에서 운영한다. 그 밖의 주요 시설로는 다목적 체육관, 18홀 규모의 파크골프장, 야외 공연장 시설이 있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제공하는 107가구 규모의 고령자 보금자리 주택이 있고, 서천군 노인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센터가 있다. 단지 내 부대시설로 공동 농장과 생태 하천, 산책로, 게이트볼장, 골프장, 한방 찜질방, 야외 공연장 등이 있다.
[현황]
서천복지마을은 2023년 6월 22일 남성리 마을회관에서 ‘찾아가는 복지마을’을 실시하였다. ‘찾아가는 복지마을’은 서천복지마을 소속 5개 시설의 지역 복지 연계 사업이다. 서천군 읍면을 방문하여 시설 홍보 및 서비스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행복밥차에서 조리한 음식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