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832 |
---|---|
한자 | 保健 醫療 |
영어공식명칭 | Health and Medical Car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경욱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하여 행하여지는 제반 활동.
[개설]
충청남도 서천군은 공공 보건 의료 확충을 통하여 점차 증가하는 보건 수요에 대응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방역과 감염병 예방에 중점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보건 기관의 환경 개선, 의료 장비 보강 등을 통하여 보건 의료 서비스 개선에 앞장서고 있으며, 코로나19 감염병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농어촌 지역 중심의 의료 취약성 보완을 위하여 노후화된 보건소와 보건지소를 신축, 리모델링하여 보건 사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서천군 보건 의료는 핵심 전략 목표로 ① 보건 기관 기능 보강 사업, ② 코로나 등 감염병 예방 관리, ③ 안정적인 응급 의료 체계 구축, ④ 주민 보건 의료 서비스 강화 및 지역 사회 건강 증진 서비스 운영, ⑤ 방문 건강 관리 및 정신 건강 증진 사업 강화, ⑥ 맞춤형 모자 보건 사업 강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보건 인프라]
보건소와 보건지소는 「지역보건법」, 보건진료소는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 운영된다. 2020년 현재 서천군에는 보건소 1개, 보건지소 10개, 보건진료소 17개가 운영되고 있다.
서천군은 초고령화 등 농어촌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주민 참여형 보건 사업 개발과 서비스 제공으로 주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 응급 상황 및 현장 대응 능력을 높여 안정적인 응급 의료 체계를 구축하고, 통합 건강 증진 시행으로 군민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건강 약자를 위한 방문 보건 사업을 추진하여 만성 질환 예방 및 관리에 주력하고 있으며, 신종 및 법정 감염병 발생을 능동적으로 감시하고 활동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운영하고 있다. 임산부와 영유아에 대한 건강 증진 및 관리로 튼튼한 다음 세대 육성에도 노력하고 있다.
1987년 11월 28일 「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된 이래, 농어촌 등 보건 의료 취약 지역에 공중 보건의와 보건 진료원이 배치되고 시설과 의료 장비도 보강되었다. 정부의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에서는 만성 질환의 효과적인 관리와 중증 질환 및 재난적 의료비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하였는데, 이에 맞춰 서천군은 전국 최초로 지역 주민자치위원회에 보건의료분과를 설치 운영하였다. 보건지소를 중심으로 한 서천형 커뮤니티 케어 시범 사업, 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예방, 의료 그리고 건강 돌봄 서비스를 통합한 ‘건강챙김-동네한바퀴 시범사업’ 등 보건지소 중심의 보건 사업 모형을 자체 개발하고 시범 사업을 통하여 성과를 인정받아 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사업의 확장과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감염병 관리]
서천군은 각종 질병의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하여 백신 예방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2019년 현재 백일해, 디프테리아, 폴리오, 홍역, 일본뇌염, 장티푸스, B형간염, 결핵, 인플루엔자, 신증후성출혈열 등 국가 지정 감염 질병 예방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
서천군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관광 수익 감소 등 지역 경기의 침체 위기를 극복하고자 공중위생업소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품 관련 업소에 대한 위생 지도 점검이 강화 시행되고 있다. 위법 의료 행위를 근절하고 무자격자의 의약품 조제와 판매, 마약류 관리에 대하여 자체적인 단속반과 검경 합동 단속을 시행하고 있으며, 의약품에 대한 중점 관리를 통하여 군민 보건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