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모시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93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089[지현리 6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3년 8월연표보기 - 한산모시관 개관
현 소재지 한산모시관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089[지현리 60-1]지도보기
성격 문화 시설
설립자 서천군
전화 041-951-4100
홈페이지 https://www.seocheon.go.kr/mosi.do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한산모시 관련 문화 체험 시설.

[설립 목적]

한산모시관은 관광객들이 한산모시를 바로 알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시풀이 처음 발견되었던 건지산 기슭에 설립되었다.

[변천]

한산모시관은 1993년 3월 개관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산모시관은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산모시짜기의 보유자인 방연옥[국가무형유산], 한산세모시짜기의 보유자인 박미옥[충청남도 무형유산] 등이 직통 직조 기능의 맥을 잇고 있는 장소이자 관광객들이 한산모시를 바로 알고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다.

한산모시관은 전시관, 홍보관, 전수교육관 등을 운영 및 관리할 뿐만 아니라 모시옷 입기 체험, 미니 베틀 체험, 다례 체험, 부채장 체험, 천연 염색 체험, 침선장 체험, 한산모시 공예, 한산모시 식품 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현황]

한산모시관은 모시각, 전통 공방, 한산모시 전시관, 토속관, 전수교육관, 방문자 센터, 모시 체험장 등의 시설을 10만㎡의 규모로 갖추고 있다. 한산모시 전시관은 우리나라의 전통 직물인 모시의 역사와 가치를 소개하고 있다. 모시의 수확부터 모시 짜기, 모시 공예품 완성 과정 등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모시로 만든 전통 복식을 재현하여 전시하고 있다. 전시관은 지상1층과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과거 우리 조상들이 직접 입었던 모시옷을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고, 한산모시의 특징을 보여 준다.

한산모시 홍보관은 한산모시짜기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과정과 한국 모시, 중국 모시, 일본 모시의 비교, 문학 작품 속 한산모시 등을 소개하며, 한산모시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있다. 유네스코관, 의상실, 특산품 판매장 등으로 구성된 모시 테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수 교육관에서는 미니 베틀, 공예, 염색, 모시 식품 등 다양한 모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저산팔읍 길쌈놀이 전수관은 길쌈놀이의 유래, 구성도, 모시 예찬가, 모시 직조 과정 등을 전시하고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은 한산모시 산업 특구를 조성하여 한산모시의 산업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구 조성은 한산모시 현대화 사업, 한산모시 재배 단지 조성, 한산모시 산업화 사업, 한산모시연구소 건립, 전통 한산모시 육성 사업, 한산모시 체험 관광 사업을 포함한다. 한산모시 산업 특구의 전체 면적은 26만 8075㎡에 이른다.

[의의와 평가]

한산모시는 서천군의 대표적인 지역 특산물이지만 단순히 하나의 상품에 그치지 않고 서천군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한산모시관은 서천군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전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