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91 |
---|---|
한자 | 宋錫後 |
영어공식명칭 | Song Seokhu |
이칭/별칭 | 지계(支溪)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근호 |
추모 시기/일시 | 1753년 - 송석후 이조참의 추증 |
---|---|
거주|이주지 | 북산리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북산리![]()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진천 |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학자.
[가계]
송석후(宋錫後)[?~?]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지계(支溪)이다. 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부인은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고, 아들은 송도함(宋道涵)·송덕함(宋德涵)·송선함(宋善涵)·송대함(宋大涵)·송윤함(宋胤涵)·송시함(宋時涵)이다.
[활동 사항]
송석후는 세거지인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북산리에 거주하면서 학문에 힘쓰고 자식들을 훌륭히 가르쳐 아들 네 명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지역 사람들은 송석후를 ‘향선생’이라 불렀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1753년(영조 29) 송석후의 손자 송주천(宋柱天)이 임금에게 송석후의 증직을 요청하였다. 임금은 여섯 명의 아들 중 네 명이 문과에 급제하고 장손인 손자 송주항(宋柱恒) 또한 급제하였으니 오자등과(五子登科)의 예에 따라 증직을 허가한다며 송석후를 이조참의에 추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