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90 |
---|---|
한자 | 宋道涵 |
영어공식명칭 | Song Doham |
이칭/별칭 | 형보(亨甫)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근호 |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송도함(宋道涵)[1657~1724]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형보(亨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할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아버지는 송석후(宋錫後)이고, 어머니는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부인은 신수(申滫)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고, 아들은 송주항(宋柱恒)이다. 동생은 송덕함(宋德涵)·송선함(宋善涵)·송대함(宋大涵)·송윤함(宋胤涵)·송시함(宋時涵)이다.
[활동 사항]
송도함은 1657년(효종 8) 서천에서 태어나 1682년(숙종 8)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685년 성균관에서 치러진 제술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직부전시하라는 명을 받았으며, 1686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87년 성균관학유에 제수되었고, 이후 승정원가주서·봉상시부봉사·성균관학정을 지냈다. 1689년 성균관전적을 거쳐 과천현감과 병조좌랑을 역임하였다. 병조좌랑 재임 시 기사환국이 발생하였는데, 남인인 민암(閔黯)이 나서서 인현왕후의 출궁을 명하는 내용의 교문(敎文) 작성을 지시하자 이를 거부하고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였다.
송도함은 1690년 성균관직강에 제수되어 관직에 복귀한 뒤 목천현감을 지냈으며, 1692년에는 예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704년 평안도도사를 거쳐 1705년 무안현감으로 부임하였고, 1714년에는 울산부사로 부임하였다. 1719년 예빈시정을 역임하였고, 경종 즉위 후 1721년(경종 1) 사헌부장령으로 있을 때에는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 등과 함께 왕세제 책봉을 반대하는 유봉휘(柳鳳輝)를 탄핵하기도 하였다. 송도함은 1724년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