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량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99
한자 馬梁鎭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466년 - 마량진 수군첨절제사진으로 거진(巨鎭)이 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55년 - 마량진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충청남도 서천군으로 이전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 있었던 조선 후기 수군 군사 기관.

[제정 경위 및 목적]

마량진(馬梁鎭)은 조선 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존속하였던 수군진이다. 그러나 마량진은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의 위치가 달랐다. 조선 전기에는 남포현[현 보령시]에 있었고, 조선 후기에는 비인현[현 서천군]에 있었다. 남포현에 있었던 마량진은 본래 수군도만호진이었다. 1406년(태종 6) 충청도 해안을 침략하던 왜적이 조운선을 약탈하여 수군도만호가 곤장을 맞은 사실에서 마량진이 적어도 1406년 이전에 설치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량진은 1466년(세조 12) 수군첨절제사진이 되면서 거진(巨鎭)이 되었다. 그러나 마량진은 1655년(효종 6) 11월 비인현으로 수군진의 위치가 바뀌었다. 남포현에 있던 마량진은 전선을 감추기 어렵고 청나라와의 전투에 대비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비인현으로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

마량진은 남쪽에서 올라오는 왜적과 황당선의 침입을 막고, 연해의 어민과 마량진 앞바다를 지나는 어선과 조운선을 보호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마량진은 수시로 표류선과 이양선의 감시 결과를 충청수영에 보고하였다. 마량진에 있었던 요망군과 후망군은 이양선의 출몰 사실을 마량첨사에게 보고하였고, 마량첨사는 이양선으로 직접 가서 관련 사실을 조사한 다음 충청수사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하였다. 또한 조운선의 호송을 위하여 뱃길을 잘 인도하여 조운선이 침몰하지 않도록 하였다. 조운선이 마량진의 관할 구역에 들어오면 다음 관할 구역까지 안전하게 호송하는 임무를 맡았다.

[내용]

마량진에는 종3품 수군첨절제사가 파견되었다. 마량첨사는 한동안 중앙에서 파견하였으나, 1865년부터 충청감영의 군관 중에서 관아의 수령이 사람을 뽑아 벼슬을 시키는 자벽(自辟) 방식으로 바뀌었다. 임기도 900일에서 24개월로 바꾸었기 때문에 별도로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절을 올리는 사은숙배(謝恩肅拜)를 할 필요가 없었다.

마량진에는 다수의 군병이 있었다. 세종 연간에는 선군 1,302명, 성종 연간에는 수군 1,120명, 고종 연간에는 수군 744명과 신선군 82명, 주사군 323명이 있었다. 세종 연간에 비하여 성종 연간에 군병의 수가 줄어든 것은 조운선에 수군이 동원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마량진 내에는 내아, 아사, 관사, 객사, 진무청, 군기고, 사령청, 군관청, 육물고 등의 건물이 있었다. 조선 전기 남포현에 있던 마량진은 1510년(중종 5) 쌓은 석성(石城)이었고, 둘레 1,371척[약 457m], 높이 9척[약 3m]이었으나, 조선 후기 비인현마량진은 별도의 성을 축조하지 않았다.

마량진에는 다수의 전함이 있었다. 세종 연간에는 병선 16척, 별선 2척, 무군선 1척 등 19척이 있었다. 성종 연간에는 대맹선 1척, 중맹선 6척, 소맹선 4척, 무군소맹선 10척 등 21척이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대체로 전선 1척, 방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3척 등 6척이 있었다. 조선 전기에는 왜구의 침입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함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면 조선 전기에 비하여 전함의 수가 크게 줄었다. 임진왜란 이후 이미 외적의 침략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수군진이 설치되었고, 각 읍에도 전선이 존재하므로 전함을 분산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함의 선체가 컸으므로 다수의 수군이 탑승할 수 있었다.

[변천]

마량진은 본래 남포현에 있었으나, 효종 연간 비인현으로 진의 위치를 옮겼다.

[의의와 평가]

마량진은 충청도 서해안을 방어하는 중요한 수군진이었다. 조선 전기에는 왜적의 침입을 방어하는 기능을 담당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국적 불명의 황당선의 침입을 방어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