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읍지』[1901]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34
한자 舒川邑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서천읍지』[1901] 저술
편찬 시기/일시 1910년 이후 - 『서천읍지』[1901] 필사본 편찬
소장처 국사편찬위원회 -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중앙동 2-6]
성격 읍지
권책 1책 49장
규격 20㎝[세로]|28㎝[가로]

[정의]

1868년 편찬된 충청남도 서천군의 옛 읍지.

[개설]

『서천읍지』[1901] 는 1868년(고종 5) 편찬한 『서천읍지』를 일제 강점기 중추원(中樞院)에서 필사한 자료이다.

[저자]

『서천읍지』[1901] 의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편찬/간행 경위]

1871년(고종 8) 전국에 내린 읍지 상송령(上送令) 이전에도 1868년 편찬된 『관북읍지』 등으로 미루어 보면 도지(道志)를 편찬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충청도의 경우 현재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충청도)읍지』 6책이 남아 있는데, 편찬 시기를 1860년경으로 추정한다. 서천군의 옛 읍지인 『서천읍지』는 작성 연대가 정확하게 “이태왕(李太王) 5년”으로 되어 있다. 이태왕 5년은 고종 5년, 즉 1868년을 가리킨다. 다만 본 자료는 원본이 아니며 중추원에서 조선의 관습과 제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필사한 것이다. 어떠한 자료를 보고 필사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형태/서지]

『서천읍지』[1901] 는 1책 49장이며, 판형은 가로 28㎝, 세로 20㎝이다. 표제에는 ‘경제 자료 보충의 일부’로 기재하였는데, 이는 중추원의 관습 조사 자료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표제 우측 상단에는 ‘호서 서천’이라고 기재하였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서천읍지』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용지에 필사하였다.

[구성/내용]

『서천읍지』[1901] 의 목차는 방리(坊里), 호구(戶口), 도로(道路),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형승(形勝), 성지(城池), 관직(官職), 산천(山川), 성씨(姓氏), 풍속(風俗), 능침(陵寢), 단묘(壇廟), 공해(公廨), 제언(堤堰), 창고(倉庫), 물산(物産), 교량(橋梁), 역원(驛院), 목장(牧場), 관애(關阨), 봉수(烽燧), 누정(樓亭), 사찰(寺刹), 고적(古蹟), 진보(鎭堡), 인물(人物), 원전(元田), 진공(進貢), 조적(糶糴), 전세(田稅), 대동(大同), 균세(均稅), 군병(軍兵)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읍지 뒷부분에는 서천군의 규례인 서천군사례(舒川郡事例)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읍치, 산천, 성지, 공해, 관방, 봉수, 단묘, 방리, 관직, 유림, 향임, 장교, 인리, 군총, 원장부 등의 항목을 수록하였다. 읍지 말미에는 서천군 장암진(長巖鎭)의 진지(鎭誌)와 서천포의 사례(事例)가 기재되어 있다. 병선과 재정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의의와 평가]

『서천읍지』[1901] 는 19세기 후반 서천군의 행정, 사회, 경제, 문화와 관련된 제반 사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