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군지』[1929]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32
한자 舒川郡誌一九二九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29년연표보기 - 『서천군지』[1929] 간행
소장처 국사편찬위원회 -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중앙동 2-6]
성격 군지
간행자 서천군청
권책 9권 2책

[정의]

1929년 서천군에서 간행한 충청남도 서천군의 군지.

[개설]

『서천군지(舒川郡誌)』[1929] 는 1929년 편찬된 서천군의 근대 군지이다. 서천군은 1914년 비인군, 한산군, 서천군을 통합하여 13면으로 편제되었는데, 통합 이후 서천군 지역에서 최초로 간행된 군지가 『서천군지』이다.

[저자]

『서천군지』[1929] 의 편찬 과정에는 여러 인물이 참여하였다. 도유사(都有司)인 간행위원장은 서천군수 하준환(河俊煥)이며, 부유사(副有司)는 서천문묘(舒川文廟)의 직원 김상준, 한산문묘(韓山文廟)의 직원 노재홍, 비인문묘(庇仁文廟)의 직원 유범준이었다. 서문은 서천군수 하준환이 썼다.

[편찬/간행 경위]

서천군수 하준환이 쓴 서문에 따르면 서천군, 한산군, 비인군의 옛 읍지를 증보하여 『서천군지』를 간행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1928년 작성된 나석기(羅錫璣)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발문 내용에 편찬 경위가 기술되어 있다. 1925년 서천군수로부터 군지의 편찬 제안을 받았다고 한다. 나석기는 여러 인물과 함께 1926년 겨울부터 편찬 작업을 시작하여 1928년 여름에 ‘서천읍지’라는 이름으로 군지를 간행하였다고 한다. 편집은 나석기, 교정은 구한수, 재무는 나태하, 사서는 구인섭, 간사는 구재칠, 찬의는 조능하가 맡았다. 이외에도 군지 편찬에 재정 지원을 한 명단도 함께 첨부되어 있다.

[형태/서지]

『서천군지』[1929] 는 2책[상책, 하책]으로 되어 있으며, 본문은 모두 9권이다.

[구성/내용]

『서천군지』[1929] 의 본문 내용은 모두 9권이다. 상책은 1~6권, 하책은 7~9권이다. 1권에는 군명, 위치, 군청 소재지, 건치 연혁, 산악, 하천, 도서, 형승(形勝), 성씨, 풍속이 있다. 2권에는 단(壇), 문묘, 능침(陵寢), 원사(院祠), 관공서, 행정, 교육, 경찰, 통신, 금융, 산업 등의 각 기관이 소개되어 있다. 3권에는 지적, 제세(諸稅), 제세율, 군경비, 면경비, 향교 경비, 학교 경비, 학교 조합 경비 등과 같은 재정 관련 항목이 있다. 4권에는 도로, 교량, 시장, 공장, 제언, 보, 수리 조합, 물산, 누정, 사찰, 고적, 고사 등이 실려 있다. 5권에는 제영(題詠), 기문이 있으며 6권에는 선생안이 있다. 7권부터 9권까지는 인물조다. 충신, 공신, 문학, 효행, 특행(特行), 열행(烈行), 현원(賢媛), 자선(慈善), 문과, 무과, 사마(司馬), 음사(蔭仕), 수직(壽職)의 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천군지』[1929] 는 1914년 서천군 지역의 비인군, 한산군, 서천군이 통합된 이후 편찬한 군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역의 역사가 없어질 것을 우려하여 시간이 흐르기 전에 이전의 모습을 기록하려는 노력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