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읍지』[2021]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33
한자 舒川邑誌二零二一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2015년연표보기 - 『서천읍지』[2021] 저술
편찬 시기/일시 2015년 - 『서천읍지』[2021] 편찬
간행 시기/일시 2015년 2월 - 『서천읍지』[2021] 초판 발행
간행 시기/일시 2021년 - 『서천읍지』[2021] 개정판 발행
간행처 서천문화원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화금서길 29-18[사곡리 62]지도보기
성격 읍지|지리지
저자 편성철|황경순|한지현|이해성|강희정
간행자 서천문화원
표제 역사 문화와 발전이 공존하는 서천읍지

[정의]

2021년 서천문화원에서 간행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의 향토지.

[개설]

『서천읍지(舒川邑誌)』[2021] 는 2015년 2월 서천문화원에서 간행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의 향토 지리지를 보강하여 2021년에 재간행한 향토 지리지이다. 서천읍의 지리, 역사, 문화, 행정, 경제 등의 정보를 수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서천문화원에서는 매년 서천 향토 문화 발굴 사업의 일환으로 서천군 내 13개 읍면의 읍면지를 발간하고 있다. 2015년은 서천읍을 대상으로 하여 『서천읍지』를 발간하였다. 서천 향토 문화 발굴 사업은 서천군의 각 읍면의 인문 지리와 자연 지리, 역사 문화, 마을 이야기를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읍면 단위의 뿌리와 이야기를 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서천읍지』는 2015년 2월 발간되었으나 2021년 내용을 보강하고 누락된 부분을 발굴하기 위하여 다시 편찬하였다.

[서지적 상황]

『서천읍지』는 2015년 초판이 간행되었으며 발행처는 서천문화원이다. 2015년 『서천읍지』 편찬을 위한 책임 연구원은 한국국학진흥원의 편성철이고, 참여 연구원으로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황경순, 청계천문화관의 한지현, 안동대학교의 이해성, 도토리문화학교의 강희정이 참여하였다. 2021년 『서천읍지』 개정판 발행처도 서천문화원이다.

[형태]

『서천읍지』는 1책 319쪽으로 구성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15㎝, 세로 22.5㎝이다.

[구성/내용]

『서천읍지』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두에는 ‘사진으로 보는 서천읍’이라는 항목에서 서천읍의 옛 사진을 수록하였다. 1장은 ‘서천읍의 자연 인문 환경과 지명 유래’이다. 서천읍의 지리 환경과 마을 지명의 유래를 담았다. 2장은 ‘서천읍의 역사와 인물’이다. ‘서천읍의 역사적 발자취’에서는 ‘역사와 세종실록지리지로 만나는 서천읍의 인물’을 수록하였다. 3장은 문화유산에 대한 내용이다. 선사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적을 소개하고 있다. 4장은 ‘서천읍의 행정과 기관 단체’이다. 서천읍의 행정 현황을 정리하였다. 5장은 ‘서천읍 사람들의 모둠살이’이다. 구암리, 군사리, 남산리, 동산리(同山里), 두왕리, 둔덕리, 사곡리, 삼산리, 신송리, 오석리, 태월리, 화금리, 화성리를 대표하는 마을 명칭을 부여하여 마을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천읍지』서천읍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고 지역민의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편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