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308 |
---|---|
한자 | 板橋驛 |
영어공식명칭 | Pangyo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길 8[저산리 308-2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중환 |
준공 시기/일시 | 1931년 8월![]() |
---|---|
이전 시기/일시 | 2008년 11월 27일 - 판교역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 308-25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판교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
주소 변경 이력 | 판교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길 8[저산리 308-25] |
현 소재지 | 판교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길 8[저산리 308-25]![]() |
성격 | 기차역 |
전화 | 1544-7788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에 있는 기차역.
[건립 경위]
판교역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호남평야의 쌀 수탈에 이용할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변천]
판교역은 1931년 8월 장항선 판교역에서 남포역까지 구간이 완공되면서 영업을 개시하였다. 장항선 개통 당시 판교역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자리 잡고 있었으나, 장항선 직선화 공사에 따라 2008년 11월 27일 지금의 서천군 판교면 저산길 8[저산리 308-25]로 신축, 이전하였다. 판교역은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간치역과 서천역 사이에 있었으나, 2021년 1월 간치역이 이용객 및 취급 화물량의 감소로 폐역되면서, 현재는 서천역과 웅천역 사이에 있다.
[구성]
판교역은 장항선을 경유하는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역이다. 승차권 발매, 여객 승하차 안내, 여객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 저산리에 들어선 판교 역사는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된 돔 천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벽은 벽돌로 지어진 지상 2층 규모의 현대식 시설을 갖추고 있다. 1층에 맞이방과 자동 발매기, 화장실이 있고, 2층에 승강장과 고객 대기실이 있다. 용산 방면 승강장 2곳과 익산 방면 승강장 2곳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상 2층 이동 통로에 계단, 에스컬레이터 4기, 엘리베이터 2기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현황]
2008년 신축 이전한 현재의 판교역은 기존의 판교역에서 약 765m 떨어진 곳에 있다. 장항선 일반 열차는 천안~아산~온양온천~예산~홍성~대천~서천~군산~익산 구간을 운행한다. 한편 구 판교 역사는 판교특화음식촌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판교면 현암리 일원 93필지는 근대 건축물 7개소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서천 판교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보존 정비되고 있다. 구 판교역 일대는 1931년 장항선 판교역이 들어서면서 쌀과 모시, 한우 등 지역 물류의 거점으로 번성하였던 지역이다. 이후 산업화 과정과 지방 인구 감소, 역사 이전으로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으나, 오히려 시간이 멈춘 것처럼 1930년대 거리 풍경이 보존되어 있어 현재는 판교 시간이 멈춘 마을 등 근대역사문화 관광지로 정비되고 있다. 서천군을 찾는 방문객과 관광객에게 관광 자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