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천터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293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당정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2001년연표보기 - 종천터널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11월 - 종천터널 배전반 화재 발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2년 - 종천터널 케이블프리 제트팬 설치
전구간 종천터널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종천터널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당정리지도보기
성격 터널
길이 819m[상행선]|879m[하행선]
차선 왕복 4차선
9.1m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당정리를 연결하는 터널.

[명칭 유래]

종천터널은 터널이 지나는 종천면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제원]

종천터널은 서울 방향 상행선의 길이는 819m, 목포 방향 하행선의 길이는 879m로 차이가 있다. 폭 9.1m, 높이 7.3m로 동일하며, 왕복 4차선이다.

[건립 경위]

종천터널서해안고속도로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의 중심부에 뻗어 있는 화산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나가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2001년 춘장대IC와 서천IC 사이에 종천터널을 준공하였다.

[변천]

2017년 11월 종천터널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터널 내부가 한때 정전되는 사고가 있었다. 배전반 화재로 인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는 터널 내 돌발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케이블프리 제트팬’을 개발하여, 2022년 종천터널 내부에 설치하였다. 케이블프리 제트팬은 화재 또는 전력 기반 시설 소실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바람을 일으켜 화재로 발생한 연기 또는 열기를 터널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재 설비이다. 케이블프리 제트팬에는 별도로 개발한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화재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된 배터리에서 변환 장치를 거쳐 제트팬으로 전력을 공급하므로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대형 화재, 정전 시에 안정적으로 제트팬을 가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현황]

종천터널서해안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호]에 있는 터널이다. 종천터널은 한국도로공사 보령지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2023년 현재 통행량은 양방향 1만 5505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