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63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도마천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도마천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금복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19,310,000㎡
길이 9.50㎞
7.40㎞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금복리에서 발원하여 문산저수지를 거쳐 길산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명칭 유래]

도마천의 정확한 명칭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옛날 길산천으로부터 배가 들어왔다고 하며, 도마천을 연결하는 도마다리는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여 힘든 일을 할 때 합창으로 부르는 “으이샤 펌프 도마다리 불났네”라는 협동가가 생길 정도로 유명하였다고 한다.

[자연환경]

도마천문산면 금복리 원진산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흐른다. 문산저수지를 거쳐 하천 하류부에서는 서남류하여 금강의 제1지류인 길산천으로 합류한다. 도마천 유역의 지질 구조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와 제4기 현세통 충적층이 전체 유역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도마천 주변으로 일부 불국사통 화강암, 경상계 불국사통 석영맥이 분포한다. 지질별로 분류하면 석영, 자갈, 모래, 점토, 이토, 화강암, 화강 편마암 등이 분포하며, 이 중 편마암 계열의 지질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현황]

도마천금강의 제2지류이며, 유역 면적은 1931만㎡, 유로 연장은 9.50㎞, 폭은 7.40㎞이다. 도마천 유역은 대부분 농경지로 되어 있으며, 소규모 마을이 분포한다. 도마천의 토지 이용 현황을 보면, 농지 616만㎡[31.90%], 임지 1137만㎡[58.88%], 도시 및 주거지 104만㎡[5.39%], 수계 74만㎡[3.83%]로서 주로 임야 및 농지로 활용된다. 도마천은 여름철 집중 호우와 태풍 시 하천 단면 부족 문제로 인하여 상습 침수가 발생하여 2006년 재해 위험 지구로 지정되었다. 2019년부터 도마천이 정비 사업 대상지로 지정됨에 따라 5개의 교량과 배수공 등 연약 지반을 보수하고 제방을 쌓는 등 정비를 진행하였다. 도마천 유역 내에 문화 유적으로 서천 봉선리 유적(舒川 鳳仙里 遺蹟)[사적]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