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57
한자 板橋川
이칭/별칭 널다리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서천읍|종천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판교천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판교천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복대리|서천읍 사곡리|신송리|종천면 장구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58,700,000㎡
길이 18.28㎞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복대리에서 발원하여 서천읍 사곡리·신송리, 종천면 장구리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명칭 유래]

판교천(板橋川)은 옛 지명인 ‘너덜이’에서 유래하였다. 나무판자로 다리를 놓았다 하여 ‘널다리’로 부르다가, 이후 한자 이름인 ‘판교(板橋)’로 불렀다.

[자연환경]

판교천은 서천군 내에서 두 번째로 긴 하천이며,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 중에서는 가장 긴 하천이다. 서천군의 북단인 판교면 복대리에서 발원하여 서천읍 사곡리신송리를 남류하다 종천면 장구리로 서류하여 장구만 서해로 유입된다. 하천 중류에 흥림저수지[서부저수지]가 있어 넓은 유역의 평야를 관개한다. 판교천 유역의 형상은 수지상을 이룬다.

판교천은 동쪽으로 월명산, 놋점이고개, 봉림산, 천방산, 언고개로 이어지며, 서쪽으로는 갈로고개, 한티재, 문수산, 왕심산으로 이어지며 유역 경계를 이룬다. 산지를 따라 남쪽으로 흘러 서부저수지로 유입하는데, 이후 중하류는 남쪽으로 약 6㎞의 농경지를 관류하여 흐르다가, 서쪽으로 흐름을 바꾸어 서해로 합류한다. 지형의 대부분은 농경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형 윤회에 의하면 노년기의 특성을 띤다. 유역의 전반에 걸쳐 화강 편마암이 분포하고, 하천을 따라 하천 주변에 충적층이 분포하며, 평리만암층이 미미하게 분포한다.

[현황]

판교천은 북쪽의 판교면, 동쪽의 서천읍, 서쪽의 종천면, 남쪽의 마서면과 경계를 이룬다. 유로 연장은 18.28㎞이며, 유역 면적은 5870만㎡이다. 판교천의 토지 이용 현황을 보면, 임야 2790만㎡[47.53%], 농경지 2292만㎡[39.05%], 대지 및 주거지 506만㎡[8.62%], 기타 282만㎡[4.80%]로 대부분 임야 및 농경지로 이용된다.

‘서천군 판교천 생태 하천 복원 사업’이 2010년 환경부의 국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2018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2020년 공사를 완료하였으며, 공사 결과 판교천에 멸종 위기종 1급으로 지정된 수달[천연기념물]이 발견되었다. 그 밖에 너구리, 두더지, 고라니, 검은댕기해오라기, 흰뺨검둥오리, 중대백로 등이 확인되었다. 판교천의 대표 어종이자 깃대종인 밀어 외에 모래무지, 민물검정망둑, 동남참게 등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