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35 |
---|---|
한자 | 日光山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화양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철 |
전구간 | 일광산 - 충청남도 서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일광산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구동리|동산리|화양면 월산리|서천읍 남산리![]() |
성격 | 산 |
높이 | 154.2m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구동리·동산리, 화양면 월산리, 서천읍 남산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일광산(日光山)은 일광사(日光寺)에서 유래하였다. 일광(日光)은 동남쪽으로부터 밝은 태양을 받는다는 의미이며, 일광사가 있던 마을을 일광이, 일광리, 일광치(日光峙)라고 불렀다. 일광산을 이루는 관두봉 8부 능선에 산을 깎아 만든 일광사 터가 있다. 관두봉은 모양이 벼슬아치의 관모처럼 생겼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자연환경]
일광산은 서천군 화양면의 뒷산이며, 높이는 154.2m이다. 동북쪽으로는 한산면 구동리·동산리(童山里)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화양면 월산리, 서천읍 남산리와 접한다. 일광산은 관두봉과 감투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산8경인 일광석벽(日光石壁)의 하나이다.
일광산의 주요 토양은 오산통(烏山統)이다. 오산통은 표토의 토성은 양토이며, 황적색의 토색을 띠며, 배수가 양호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지층은 선캄브리아 시대 화강 편마암이며, 대표 암상 역시 화강 편마암이다. 일광산의 주요 임상은 침활 혼효림과 리기다소나무림이다. 서쪽으로 길게 이어진 산맥을 따라가면 화양면 활동리의 뒷산인 어성산이 나온다.
[현황]
일광산에는 일광사와 목은 이색(李穡)이 독서하던 독서당(讀書堂)이 있었다. 지금은 사찰 터와 독서당 터만 남아 있다. 한산읍내 시장과 화양면 남성리에 있던 금성초등학교를 가기 위하여서는 일광산을 넘어야 하였는데, 이때 이용하던 고개를 일광재 또는 일괭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