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1360 |
---|---|
한자 | 長項都市探險驛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항로161번길 27[창선2리 632-26] 장항화물역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승환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6년 1월~2018년 12월 - 장항화물역 리모델링 및 공생 발전 거점 조성 사업 진행 |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19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9년 - 장항도시탐험역 국토교통부 ‘지역 정책 우수 사례 경진 대회’ 최우수 정책 선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2년 12월~2023년 7월 - 장항도시탐험역 내부 리모델링 시행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3월 4일 - 장항도시탐험역 장항 리파인 문화재생 활력 사업 진행 |
현 소재지 | 장항도시탐험역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항로161번길 27[창선2리 632-26] 장항화물역![]() |
성격 | 복합 문화 공간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창선2리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건립 경위]
2008년 장항선 선로 개량으로 장항과 군산 연결선이 개통되면서 장항역은 장항화물역으로 역명이 변경되고 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17년 9월 모든 운송 업무를 중단하였다. 이후 역사를 활용하기 위하여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총 388만 3000원을 투입하여 장항화물역 리모델링 및 공생 발전 거점 조성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9년 ‘장항도시탐험역’이라는 이름의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변천]
장항도시탐험역은 2022년 12월부터 2023년 7월까지 내부 리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2024년 3월 4일부터는 장항 리파인 문화 재생 활력 사업의 일환으로 폐선 부지를 조경과 조형물을 갖춘 도심생태숲 이음길로 조성하고 있다. 건널목 초소 문화갤러리, 철도 아카이브관 및 카페, 전차대 테마 공간, 꼬마 열차, 예술 놀이터, 로컬 마켓 및 온실 등 10여 개의 문화와 테마, 상업 시설을 조성하여 복합 문화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구성]
장항도시탐험역에는 2023년 임시 휴관 전까지 철도 역사 내 공간에는 대합실을 재구성한 소통의 공간이자 문화 예술 행사가 이루어지는 맞이홀, 어린이를 위한 놀이 및 체험 콘텐츠가 준비된 어린이 라운지, 장항을 편리하게 돌아볼 수 있도록 무료로 자전거를 대여하여 주는 자전거 대여소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장항의 근대 역사와 재도약의 내용을 담은 이야기 뮤지엄,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도시 탐험 카페, 장항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 라운지, 장항 시내를 조망할 수 있는 도시 탐험 전망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황]
장항도시탐험역은 2019년 국토교통부 선정 ‘지역 정책 우수 사례 경진 대회’ 최우수 정책에 선정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외부 시설 및 운영 프로그램 준비로 임시 휴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