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1320 |
---|---|
한자 | 長項聖堂 |
영어공식명칭 | Janghang Catholic Church |
이칭/별칭 | 장항 본당,천주교 장항교회 |
분야 | 종교/기독교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서로53번길 24[창선2리 236-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태 |
설립 시기/일시 | 1936년![]() |
---|---|
설립 시기/일시 | 1943년 12월 15일![]() |
이전 시기/일시 | 1947년 9월 26일 - 장항성당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리 531-2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창선2리 236-2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장항성당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길40번길 11-6[성주리 531-2]![]() |
주소 변경 이력 | 장항성당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서로53번길 24[창선2리 236-2] |
현 소재지 | 장항성당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서로53번길 24[창선2리 236-2]![]() |
성격 | 성당 |
전화 | 041-956-0661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창선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보령지구 소속 성당.
[설립 목적]
장항성당(長項聖堂)은 장항선 철도와 장항항 개설, 제련소를 기반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장항 지역을 서천군의 천주교 전교 활동 중심지로 삼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장항성당은 1936년에 장항공소로 설립되었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는 이미 서천 본당이 있었으나 장항의 도시화와 인구 증가세에 따라 장항에 본당 설립이 추진되어 1941년 12월 15일 장항공소가 장항성당으로 승격하였다.
1941년 서천 본당의 김영식 신부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길40번길 11-6[성주리 531-2]의 토지를 구입하여 부지 내 기존 주택을 수리하여 공소로 사용하였다. 1947년 9월 26일 서천군 장항읍 장서로53번길 24[창선2리 236-2] 부지에 벽돌조 성당을 완공하여 축복식을 가졌다. 1973년에는 시멘트 벽돌조의 새 성당으로 대체되었고, 1990년 다시 새 성당을 지었다. 축복식은 1996년 11월 17일 대전교구장 경갑룡 주교에 의하여 거행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장항성당은 천주교 공동체에서 전통적으로 운영하던 교리 학교를 넘어서서 1959년 복자유치원을 개원한 바 있다. 유치원은 1984년까지 운영되다가 중단되었다. 2006년 유치원의 재개원이 추진되어 2007년 설립 인가를 받아 2008년 ‘해성공립어린이집’이 문을 열었다. 해성공립어린이집은 2024년 2월 현재 성당 부지 내 연면적 330㎡, 건축 면적 195㎡의 규모로 6개의 보육실을 갖추고 있다. 정원은 73명이다. 공립 어린이집이지만 순교복자수녀회에서 파견된 수녀가 원장으로 소임하고 있다.
[현황]
장항성당의 관할 구역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과 마서면 전체이지만 관할 면적이나 신자 수가 그리 많지는 않다. 2022년 말 현재 336세대에 732명의 신자가 등록되어 있다. 장항성당은 신도들의 노령화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신앙 활동을 이루어지고 있는 천주교 예배당이다. 성당 건축물은 이상용 신부의 주도로 1990년에 세워졌다. 연면적 3,344㎡ 규모의 3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이다. 전례를 집전하는 성당을 비롯하여 교리실, 사제관 등이 복합적으로 설계되었다. 주임 사제 1명과 한국순교복자수녀회에서 파견된 전교 수녀 2인, 어린이집 수녀 1인 수녀 3인이 봉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박해기 이후 한국의 천주교는 은둔의 교회에서 벗어나 공개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도시의 발달로 인구가 집중된 곳에는 성당을 새로 설립하거나 기존의 본당을 이전함으로써 적극적인 선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장항성당의 이전 설립은 사회적 상황 변동에 따른 천주교의 위상과 역할을 잘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