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74
한자 永守庵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143번길 64[장구리 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00년대 - 영수암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52년 - 영수암 산신각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2010년 - 영수암 대웅전 신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9월 20일 -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재지 영수암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143번길 64[장구리 1]지도보기
성격 사찰
양식 맞배지붕[산신각]
정면 칸수 3칸[대웅전]|1칸[산신각]
측면 칸수 2칸[대웅전]|1칸[산신각]
소유자 충청남도 서천군
관리자 충청남도 서천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찰.

[위치]

영수암(永守庵)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143번길 64[장구리 1]에 있다. 화산으로부터 남쪽으로 뻗어 있는 퇴뫼산에 있다.

[변천]

영수암은 원래 이우당(二憂堂) 조태채(趙泰采)[1660~1722]가 화산의 산봉우리 근처에 세웠다. 절을 산봉우리 근처에 세워야 서천 지역이 편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후 한 승려가 절의 위치가 좋지 않다고 하여 화산으로부터 남쪽으로 뻗어 있는 퇴뫼산으로 옮겼다고 전한다. 영수암의 위치 선정에 풍수설의 영향이 컸음을 알 수 있다. “함풍2년 월 임자년(咸豊二年 月 壬子年)”이라는 명문이 적힌 산신각 지붕의 망새기와로 보아 산신각은 1852년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형태]

영수암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산신각과 요사채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전은 2010년 신축되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대웅전에는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산신각은 맞배지붕으로 높은 축대 위에 정면과 측면 각기 1칸으로 조성되어 있다. 산신각에서는 칠월칠석에 주로 예를 올리며 칠성과 산신을 숭배하고 있다.

[현황]

영수암 대웅전에 봉안된 삼존불 가운데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은 2007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영수암은 조선 후기 전통 사찰의 법맥을 이어 가고 있는 사찰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