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12
한자 板橋場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종판로887번길 26-8[현암리 147-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945년 - 판교장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판교리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로 이전
최초 설립지 판교장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판교리
현 소재지 판교장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종판로887번길 26-8[현암리 147-11]지도보기
성격 전통 시장
면적 7,431㎡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전통 시장.

[개설]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판교장을 비롯하여, 한산장, 서천특화시장, 장항전통시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건립 경위]

판교장은 1930년 장항선 판교역이 개통하면서 우시장과 모시시장이 번성하였으며, 한때 충청남도의 3대 우시장으로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기도 하였다. 지금의 판교장 옆으로 전성기를 이끌었던 옛 우시장 터 벽마다 당시의 모습을 재현하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판교장은 지금은 명맥만 유지할 정도로 쇠퇴하였으나, 1970년대의 모습과 근대 문화유산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변천]

판교장은 원래 판교면 판교리 복판에 있었으나, 해방과 더불어 지금의 현암리로 옮겨 왔다. 옛날에는 보부상들이 진을 치고 물품을 거래하던 곳으로 유명하였다. 우시장은 판교 지역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한때는 하루 100두(頭)의 소가 거래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구성]

판교장의 토지 면적은 7,431㎡이며, 매장 면적은 654㎡에 해당한다. 주요 거래 품목은 곡물류, 기성복, 잡화, 모시 등이다. 판교장의 시장 소유 형태는 공설이며, 장날은 매달 5일과 10일이다. 점포 수는 37개이며, 노점은 없고, 시장 상인 수는 37명이다.

[현황]

2023년 10월 13일과 14일 이틀간 판교장에서 제1회 판교 도토리묵 축제가 열렸다. 판교역 근대역사문화 공간에 1930년대부터 1970년대 건립된 서천 판교 구 동일정미소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일광상회 등],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장미사진관],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등 개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7개의 건축물이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 소상공인마당(https://www.sbiz.or.kr)
  • 충청남도청(https://www.chungnam.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