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45
한자 李思聖
영어공식명칭 Yi Sasu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송림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민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3년 5월 4일연표보기 - 이사성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6년 5월 - 이사성 홍주의진 가담
활동 시기/일시 1906년 11월 23일 - 이사성 평리원에서 10년 유형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16년 - 이사성 서천 은거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이사성 3·1운동 참여
몰년 시기/일시 1949년 8월 14일연표보기 - 이사성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이사성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보령 - 충청남도 보령시
거주|이주지 송림리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송림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진리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진리
활동지 홍주 - 충청남도 홍성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 강점기 서천 지역에 은거하였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이사성(李思聖)[1883~1949]은 1883년 5월 4일 지금의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태어났다. 1906년 5월 의병장 민종식(閔宗植)이 이끄는 홍주의진에 가담하기 위하여 홍주성에 들어가 선봉장 박영두(朴永斗)로부터 소집장(召集將)의 첩지를 받았다. 이에 의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임천(林川)[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도착하였으나 곧 진위대 관군에 붙잡혔다. 이때 박영두로부터 유격장에 임명되어 임천에 도착한 이한구(李漢龜) 등도 함께 붙잡혔다.

이사성은 1906년 11월 23일 이한구 등과 함께 평리원(平理院)에서 정사(政事)를 변경할 목적으로 난을 일으켰다는 죄목으로 10년 유형을 선고받았고, 유형에서 풀려난 뒤 1923년까지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송림리[마산면]에 은거하였다. 1919년에는 3·1운동에 참여하였고, 1923년 이후 일제 경찰의 감시를 피하여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진리에 은거하였다. 이 무렵 7년 동안 걸식을 하였을 정도로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렸다고 한다. 이사성은 광복 후인 1949년 8월 14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사성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