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728 |
---|---|
한자 | 文奭煥 |
영어공식명칭 | Mun Seokhwan |
이칭/별칭 | 영백(英伯),운초(雲樵)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박민영 |
출생 시기/일시 | 1869년 10월 16일![]() |
---|---|
활동 시기/일시 | 1906년 3월 - 문석환 홍주의병 서기로 활동 |
활동 시기/일시 | 1906년 7월 17일 - 문석환 군율위반죄로 징역 4년형 언도 |
활동 시기/일시 | 1908년 10월 - 문석환 석방 |
몰년 시기/일시 | 1925년 2월 13일![]() |
추모 시기/일시 | 1977년![]()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
출생지 | 장포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 |
활동지 | 홍주 - 충청남도 홍성군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정의]
개항기 서천 출신의 독립 운동가.
[가계]
문석환(文奭煥)[1869~1925]의 본관은 남평(南平)이며, 자는 영백(英伯), 호는 운초(雲樵)이다. 아버지는 문철상(文相哲)이고, 어머니는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다.
[활동 사항]
문석환은 1869년 10월 16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에서 태어나 신섭(申㰔)·윤석봉(尹錫鳳)·신협(申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국적으로 항일 투쟁이 고조되어 가자, 1906년 3월 민종식(閔宗植)을 의병장으로 봉기한 홍주의병에 가담하여 서기로 활동하였다.
예산·청양·서산·서천 일대의 항일 세력을 결집한 홍주의병은 당시 전국 의진 가운데 규모와 세력이 가장 컸으며, 1906년 5월 19일에는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일제는 서울 주둔 일본군을 출동시켜 1906년 5월 30일 대대적인 공격을 가하였고, 의병들은 수많은 희생자를 내며 치열하게 싸웠지만 결국 홍주성이 함락되고 패배하였다.
문석환은 동지들과 함께 사로잡혀 서울로 압송되었고, 1906년 7월 17일 이른바 군율위반죄로 징역 4년형을 언도받고 유준근·이식·남규진·신현두·이상두·최상집·신보균 등과 함께 8월 8일 대마도로 끌려갔다. 문석환은 이즈하라[嚴原] 항구의 일본군 대마경비보병대대 내에 신설된 감금소에 유폐되어 옥고를 치르다가 1908년 10월에 석방되었으며, 1925년 2월 13일 서천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문석환은 대마도 유폐 생활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필사본 『마도일기(馬島日記)』를 남겼다.
[묘소]
문석환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문석환의 공적을 기려 1977년 건국포장을,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