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펜젤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12
영어공식명칭 Henry Gehard Appenzell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유승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8년 2월 6일연표보기 - 아펜젤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85년 4월 5일 - 아펜젤러 조선 입국
활동 시기/일시 1885년 - 아펜젤러 배재학당 설립
활동 시기/일시 1890년 - 아펜젤러 마가복음과 마태복음 번역
몰년 시기/일시 1902년 6월 11일연표보기 - 아펜젤러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2년 1월 16일 - 아펜젤러 순직 기념관 건립
추모 시기/일시 2022년 - 아펜젤러 순직 120주년 추모 예배 및 기념비 제막식 개최
학교|수학지 프랭클린 마셜대학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랭카스터
학교|수학지 드루대학 - 미국 뉴저지주
성격 선교사
성별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순직 기념관이 있는 미국 출신 선교사.

[개설]

아펜젤러(Henry Gehard Appenzelle)[1858~1902]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1858년 2월 6일 태어났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에 있는 프랭클린 마셜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뉴저지주에 있는 드루대학 신학부를 졸업하였다.

1885년 4월 5일 제물포를 통하여 조선에 선교사로 왔다. 갑신정변 직후라 조선 정국이 불안하여 일본으로 돌아가 있다 1885년 7월 29일 다시 입국하였다. 1902년 6월 11일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에 있는 어청도 부근에서 순교하였다. 미국에서 드루신학교를 졸업한 엘리트 선교사로 장로교 언더우드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과 함께 조선의 선교와 교육에 헌신하였다.

[활동 사항]

아펜젤러는 선교와 교육 활동에 매진하였다. 아펜젤러는 1885년 한국 최초 개신교 교회인 정동제일교회를 설립하였다. 또 1885년 배재학당을 설립하여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였다. 배재학당의 교가와 교표는 프린스턴 대학의 교가와 교표를 모방하였다고 한다. 아펜젤러 선교사는 프린스턴 대학 교수의 강의를 듣고 해외 선교를 결심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배재학당의 교훈은 ‘크고자 하거든 사람을 섬겨라[欲爲大者 當爲人役]’이다. 아펜젤러는 성경 번역을 위하여 제물포에서 대판상선 구마가와마루[熊川丸]호를 타고 목포로 가던 중 어청도 부근에서 대판상선 기소가와마루[木曾川丸]호와 충돌 사고로 순교하였다.

[사상과 저술]

아펜젤러의 뿌리 깊은 사상은 성경이었다. 성경을 통하여 조선 사람들을 전도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성경 번역에 매진하였다. 1890년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을 번역하였다. 성경 번역을 위하여 목포로 가던 중 선박 충돌 사고로 순교하였을 정도로 성경 번역에 혼신의 노력과 희생을 각오하였다. 또한 교육 사업으로 배재학당을 건립하여 예수의 가르침과 같이 사람을 섬기는 교육 사상을 가르쳤다. 한국 최초의 월간 잡지 『교회』를 발간하였다.

[묘소]

아펜젤러는 1902년 선박 충돌 사고로 함께 승선한 조사 조한규와 정신여학교 여학생과 같이 순교하였다. 시신을 찾지 못하자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양화진 선교사 묘역에 가묘를 만들었다.

[상훈과 추모]

1902년 아펜젤러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 부근에서 순직하였다. 이에 아펜젤러를 추모하고자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2012년 1월 16일 아펜젤러 순직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아펜젤러 순직 기념관아펜젤러가 죽음을 맞이한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서면 마량리 동백정교회에서 관리 운영한다. 2022년 아펜젤러 순직 기념관에서 순직 120주년 추모 예배 및 기념비 제막식을 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