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임벽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03
한자 金林碧堂
영어공식명칭 Gim Imbyeokdang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92년연표보기 - 김임벽당 출생
몰년 시기/일시 1549년연표보기 - 김임벽당 사망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거주|이주지 남당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여성
본관 의성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여류 문인.

[가계]

김임벽당(金林碧堂)[1492~154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을 지낸 김축(金軸)이다. 아버지는 김수천(金壽千)이고, 어머니는 한양 조씨(漢陽 趙氏)이다. 남편은 기계 유씨 유여주(兪汝舟)이고, 아들은 유위(兪緯)이다.

[활동 사항]

김임벽당은 1492년(성종 33)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김축에게 시문과 글씨를 배웠으며, 중종 때 현량과에 급제한 남편 유여주가 기묘사화를 피하여 1518년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은둔하면서 서천에 거주하게 되었다.

김임벽당은 곤궁하지만 지조를 지켜 화려함을 바라지 않았다고 하며, 당대에 뛰어난 시문으로 중국에까지 이름이 알려졌다. 김임벽당은 1549년(명종 4)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임벽당의 작품 중 「증별(贈別)」과 「빈녀음(貧女吟)」을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중국 당나라 때 사람인 전겸익(錢謙益)의 『열조시집(列朝詩集)』과 허균(許筠)의 『국조시산(國朝詩刪)』,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에 김임벽당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