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01
한자 趙泰采
영어공식명칭 Jo Taechae
이칭/별칭 유량(幼亮),이우당(二憂堂),충익(忠翼)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60년연표보기 - 조태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86년 - 조태채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8년 - 조태채 성균관전적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89년 - 조태채 병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91년 - 조태채 옥구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99년 - 조태채 사간원대사간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0년 - 조태채 평안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01년 - 조태채 이조참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2년 - 조태채 승정원도승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3년 - 조태채 한성부판윤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6년 - 조태채 이조판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17년 - 조태채 우의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조태채 사은정사로 청나라 사행
활동 시기/일시 1721년 - 조태채 진도군에 유배
몰년 시기/일시 1722년연표보기 - 조태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25년 - 조태채 복작, 시호 충익(忠翼) 추시
추모 시기/일시 1726년 - 조태채 관직 추탈
추모 시기/일시 1729년 - 조태채 복작
추모 시기/일시 1736년 - 조태채 시호 회복
묘소|단소 조태채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구암리 152-7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사충서원(四忠書院) -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232번길 89-8[상산곡동 100-2]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양주
대표 관직|경력 우의정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구암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조태채(趙泰采)[1660~1722]의 본관은 양주(楊州)이며, 자는 유량(幼亮), 호는 이우당(二憂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존성(趙存性)이고, 할아버지는 조계원(趙啓遠)이다. 아버지는 조희석(趙禧錫)이고, 어머니는 백홍일(白弘一)의 딸 수원 백씨(水原 白氏)이다. 부인은 심익선(沈益善)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고, 아들은 조관빈(趙觀彬)이다.

[활동 사항]

조태채는 1660년(현종 원년)에 태어나 1686년(숙종 12) 별시 문과에 급제한 뒤 승정원가주서가 되었다. 1688년 승문원저작·성균관전적을 거쳐 1689년 병조좌랑을 지냈고, 1691년 옥구현감으로 부임하였다. 1694년 이후 삼사(三司)와 세자시강원, 홍문관의 관직을 역임하였고, 1699년 승정원승지·사간원대사간을 거쳐 1700년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조태채는 1701년 이조참판이 되었고, 1702년에는 사헌부대사헌과 승정원도승지를 역임하였다. 1703년 호조판서와 한성부판윤, 1706년 이조판서, 1707년 병조판서를 지냈고, 1713년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17년 우의정에 올랐으며, 1720년(경종 즉위년) 사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 등과 함께 연잉군(延礽君)[후일의 영조]을 세제에 책봉하고 세제의 대리청정까지 시도하다가 소론 측의 반격으로 신축옥사가 일어나 1721년 진도군에 유배되었다. 조태채는 1722년 유배지에서 사사되었다.

[학문과 저술]

조태채의 저술로는 시문집인 『이우당집(二憂堂集)』이 전한다. 『이우당집』은 1758년 홍봉한(洪鳳漢)이 주도하여 김창집·이이명·이건명(李健命)의 문집과 함께 운각(芸閣) 활자로 간행하였다.

[묘소]

조태채의 묘소는 서천군 서천읍 구암리 152-7에 있다.

[상훈과 추모]

조태채는 1725년(영조 1) 정호(鄭澔)의 건의로 복작되고 충익(忠翼)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1728년 이광좌(李光佐)의 요청으로 다시 추탈되었다가 1729년에 다시 복작되었고, 1736년 시호도 회복하였다. 조태채는 지금의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232번길 89-8[상산곡동 100-2]에 있는 사충서원(四忠書院)과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안치리에 있던 봉암서원(鳳巖書院)에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