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97 |
---|---|
한자 | 尹珖儀 |
영어공식명칭 | Yun Gwangui |
이칭/별칭 | 신여(信汝),환성(喚星)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근호 |
출생 시기/일시 | 1826년![]() |
---|---|
몰년 시기/일시 | 1904년![]() |
추모 시기/일시 | 1927년 - 윤광의 옥산사 배향 |
출생지 | 서천 - 충청남도 서천군 |
사당|배향지 | 옥산사(玉山祠)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천로679번길 8[옥산리 686-2]![]() |
성격 | 문인|학자 |
성별 | 남 |
본관 | 파평(坡平) |
[정의]
개항기 서천 출신의 학자.
[가계]
윤광의(尹珖儀)[1826~1904]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신여(信汝), 호는 환성(喚星)이다. 영의정을 지낸 윤필상(尹弼商)의 14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윤길진이고, 아버지는 윤영규(尹永奎)이다.
[활동 사항]
윤광의는 1826년(순조 26) 서천에서 태어났다. 기호 유학의 맥을 잇는 오희상(吳熙常)과 조병덕(趙秉德)[1800~1870]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서천 출신의 학자 신태진(申泰鎭)과도 교유하였다. 또한, 을사늑약 파기를 주장하며 자결한 송병선(宋秉璿), 항일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崔益鉉) 등과 교류하면서 조선의 운명에 대하여 걱정하였다. 윤광의는 1904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윤광의의 저술로는 『사례촬요(四禮撮要)』 등 10여 권의 저서가 있다. 스승 조병덕에게 학문에 대하여 문의한 서찰이 조병덕의 문집인 『숙재집(肅齋集)』에 수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윤광의는 1927년 후손 윤형(尹灐)과 백낙준(白樂準)·신백균(申百均) 등의 발의로 지금의 서천군 마서면 장천로679번길 8[옥산리 686-2]에 건립된 옥산사(玉山祠)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