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58 |
---|---|
한자 | 權惺先生影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15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경동 |
제작 시기/일시 | 1727년![]() |
---|---|
이전 시기/일시 | 1968년 - 권성선생영정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153으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3년 11월 12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권성선생영정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권성선생영정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현 소장처 | 화산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출길 66-17[화산리 153]![]() |
성격 | 회화류 |
소유자 | 안동 권씨 종중 |
관리자 | 안동 권씨 종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화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권성의 영정.
[개설]
권성(權惺)[1653~1730]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출신의 안동 권씨 인물로 호는 제월재(霽月齋)이다. 1687년 알성시(謁聖試)에 장원 급제하여 삼사(三司)의 관원으로 활동하였다. 권성은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현안에 관심을 가지고 정책을 제안한 인물로 전하여진다.
권성선생영정은 상단에 ‘제월재권공성칠십오세진(霽月齋權公惺七十五歲眞)’이라는 문구가 있어 권성이 75세가 된 1727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권성의 위패를 봉안하였던 서천 화산사(華山祠)에 있었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1868년에 화산사가 훼철되자 권성선생영정은 안동 권씨 종가로 이전되었다. 이후 1968년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에 영당이 건립되면서 권성선생영정이 봉안되었다. 권성선생영정이 봉안된 영당은 1992년 화산사로 개칭되었고, 2005년 화산서원(華山書院)으로 승격되었다.
권성선생영정은 1993년 11월 12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형태 및 구성]
권성선생영정은 권성의 얼굴과 상체를 중심으로 그려져 있다. 머리에는 탕건(宕巾)을 썼고, 소매 안에서 양손을 맞잡은 모습이다. 상단에 ‘제월재권공성칠십오세진’이라는 문구가 있다.
[특징]
권성선생영정의 상단에 주인공의 성명과 나이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 후기 영정의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권성선생영정은 조선 후기 문관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제작 시기와 당시 권성의 모습을 알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