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42
한자 舒川永守庵木造菩薩坐像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143번길 64[장구리 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9월 20일연표보기 -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장처 영수암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충서로143번길 64[장구리 1]지도보기
성격 불상
재질 목재
크기(높이) 82.3㎝[높이]|57.2㎝[어깨 너비]|57.2㎝[무릎 너비]
소유자 영수암
관리자 영수암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 영수암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개설]

영수암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 삼존 좌상 가운데 우협시 보살 좌상이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이라는 명칭으로 2007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39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형태]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은 높이 82.3㎝, 어깨 너비 57.2㎝, 무릎 너비 57.2㎝로 몸체에 비하여 얼굴이 매우 크지만 전체적으로 안정된 신체 비례를 보여 주고 있다.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 근엄한 상호 표현, 짧은 목, 오뚝한 코, 평면적인 신체 처리, 단순화된 옷 주름, 아랫배에 늘어진 옷자락이 중간에서 갈라진 점 등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까지 조선 후기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특징]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의 복장에서는 16~17세기에 제작된 『금강반야바라밀경』[1523년] 등 7종의 불경이 발견되어 조선 후기 불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천영수암목조보살좌상은 조선 후기 불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