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34 |
---|---|
한자 | 崇井寺址 |
영어공식명칭 | Temple Site sung jung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충절로 883[영모리 산45-1] 일원 |
시대 |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성수 |
소재지 | 숭정사지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충절로 883[영모리 산45-1] 일원![]() |
---|---|
성격 | 절터 |
소유자 | 충청남도 서천군 |
관리자 | 충청남도 서천군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시대의 절터.
[변천]
숭정사(崇井寺)는 고려 후기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이 유년기 지인들과 함께 공부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사역에서 이와 관련된 건물터는 확인되지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산군(韓山郡) 불우조(佛宇條)에 숭정사가 기린산(麒麟山)에 있다고 하였으나 『범우고(梵宇攷)』에 ‘금폐(今廢)’라고 기술된 것으로 보아 19세기 이전에 폐찰된 것으로 보인다.
[위치]
숭정사지(崇井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충절로 883[영모리 산45-1] 일원에 있다. 기산면 소재지에서 한산면 방면으로 약 2㎞ 정도 가면 문헌서원 이정표가 보이며, 이정표가 있는 바로 옆 산이 숭정산(崇井山)이다. 숭정사지는 숭정산의 동쪽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숭정사지는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1992년 서천군청에서 정비한 숭정(崇井)이라는 우물이 있다. 치석된 장대석을 ‘정(井)’ 자형으로 결구하여 우물 상부를 조성하여 놓았다. 숭정사지는 크게 2단으로 나뉘어 있다. 상단 대지는 가로 20m, 세로 12m이고, 하단 대지는 가로 40m, 세로 16m의 크기이다. 숭정사지에서는 생선뼈무늬[魚骨文] 및 집선문(集線文), 호상문, 청해파문(靑海波文) 등이 타날된 기와편과 자기편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숭정사의 본래 모습은 알 수 없지만 고문서에 기록이 남아 있는 사찰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