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광사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26
한자 日光寺址
영어공식명칭 Temple Site il gang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화한로495번길 80-48[남성리 산8-1] 일원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일광사지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화한로495번길 80-48[남성리 산8-1] 일원지도보기
성격 절터
소유자 충청남도 서천군
관리자 충청남도 서천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남성리에 있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시대 절터.

[변천]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목은집(牧隱集)』에 실린 시구를 통하여 일광사(日光寺)가 이미 고려 후기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의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범우고(梵宇攷)』,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 등에도 사명(寺名)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일광사는 조선 후기까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일광사지(日光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화한로495번길 80-48[남성리 산8-1] 일원에 있다. 남성리 광생마을 뒤편에 관두봉과 일광산이 마주 보고 있는 골짜기 중턱에 있다. 관두봉의 남쪽 산자락에 해당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일광사지는 남향을 한 평탄지이며 대부분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다. 무덤과 방죽, 나대지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사찰과 관련된 건축 부재나 유구는 확인되지 않는다. 유물은 절토면(切土面)과 경작지 주변에서 수습되고 있는데 기와편과 청자편, 분청사기편, 백자편 등이 주류를 이룬다. 기와편의 경우 민무늬 외에 생선뼈무늬[魚骨文]와 집선문(集線文) 등이 타날되어 있고, 토기편에는 격자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일광사는 고문서 등의 기록에 등장하는 사찰로 향후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사찰의 원형을 고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