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사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23
한자 開福寺址
영어공식명칭 Temple Site gae bok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 10
시대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3년~2015년 - 개복사지 발굴 조사
소재지 개복사지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 10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1,552.49㎡
소유자 충청남도 서천군
관리자 충청남도 서천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에 있는 절터.

[위치]

개복사지(開福寺址)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 10 일원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신검리 요지 유적은 삼국 시대 백제의 사찰 및 생산 시설, 고려 시대 사찰 및 생산 시설, 조선 시대 생산 시설 등이 확인되는 유적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국강고고학연구소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구역은 A지점, B지점, C지점으로 구분되는데 A지점의 조사 결과, 백제 시기 생산 시설과 관련된 공방지, 고려 시대 기와 가마 8기, 탄요(炭窯) 2기, 조선 시대 회곽묘(灰槨墓) 3기, 움무덤[土壙墓] 12기 등이 조사되었다. B지점은 총 4기층으로 삼국[백제]1층-통일 신라 2층-고려 3층[2기]-조선 4층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이중 3기층 유구는 고려 시대 건물터로 ‘개복사(開福寺)’ 명문와가 다량으로 수습되었고 소조 불상편 등이 출토되어 개복사지로 판단된다. C지점은 고려 시대 기와 가마 2기, 조선 시대 자기 가마 4기 등이 확인되었다.

[발굴 조사 및 출토 유물]

개복사지에 해당하는 B지점 3기층 유구는 고려 시대 건물터로 3-1기, 3-2기로 나눌 수 있다. 3-1기 건물터[고려 전기]를 조성하고 이후에 전체적으로 복토(覆土) 및 삭토(削土)한 후, 3-2기[고려 중기] 건물터를 재축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2기 건축군은 건물터 5동과 담장렬 2기, 배수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3-2기 층위에서는 기와[‘개복사’명 명문와, 암·수막새 포함] 외에 벼루를 비롯한 장경병, 청자[병, 주전자, 잔 등] 등 생활 용기가 많이 수습되었다. ‘개복사’명 암키와에는 ‘□□찰칠세이년개복사조올현화사□□대사효광주 지중대사 거호(□□刹七歲已年開福寺造兀玄化寺□□大師孝光住 持重大師 居孝)’라 쓰여 있어 개성 현화사 주지 효광과 거효 등이 개복사 중창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개복사지에서는 통일 신라 시대의 ‘운갑사(雲岬寺)’ 및 고려 시대의 ‘개복사(開福寺)’명 기와가 수습되었다. 출토된 명문와를 통하여 신검리에 통일 신라 시대 및 고려 시대에 운갑사 및 개복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