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량진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494
한자 馬梁鎭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22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655년연표보기 - 마량진성 축조
현 소재지 마량진성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228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석성
크기(높이,길이,둘레) 약 411.30m[둘레]|약 2.7m[높이]
소유자 충청남도 서천군
관리자 충청남도 서천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진성.

[건립 경위]

마량진(馬梁鎭)은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가 관할하던 진이며, 마량진성(馬梁鎭城)은 1510년(중종 5)에 남포현(藍浦縣)[현재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읍] 광암(廣岩)에 둘레 1,371척[415m], 높이 9척[2.7m]으로 돌로 쌓은 성이다. 1655년(효종 6) 이상진(李尙眞)이 순무(巡撫)차 마량진에 왔다가 지세를 살펴보고 선박의 내왕이 불편하여 비인현[충청남도 서천군]으로 옮기게 되었다. 『대동지지』 비인진보조(庇仁鎭堡條)에 보면 “효종6년 자림포광암이설간지이구진부편어장강 고야(孝宗六年 自藍浦廣岩移設干止以舊鎭不便於藏舡 故也)”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에 의하면 마량진에는 진과 관련된 건물이 존재하지만 성벽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위치]

마량진성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228 일원에 해당한다.

[형태]

『호서읍지』 마량진조에 의하면 진성(鎭城) 내에는 객사(客舍)·아사(衙舍)·내아(內衙)·진무청(鎭撫廳)·창고(倉庫)·사령청(使令廳) 등의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첨사(僉使) 밑에 군관 15명, 아전 25명, 통인 15명, 군뇌(軍牢) 2명이 있고 전선이 1척, 방어선 1척, 복물선(卜物船) 1척, 사후선(伺候船) 3척이 있어 규모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황]

현재는 민가가 밀집되어 있어 마량진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첨사가 살았던 첨사터가 있으며, 수령이 오래된 정자나무 두 그루가 있다. 그리고 주변에는 이와 관련된 조선 시대의 기와편과 자기편이 확인된다.

[의의와 평가]

『대동지지』의 성보조와 『호서읍지』 마량진조에 ‘진성’이라는 명칭이 나와 성벽과 같은 시설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