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487 |
---|---|
한자 | 舒川 玉浦里 古墳 |
영어공식명칭 | Ancient Tombs in seocheon okpo-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431-1 |
시대 | 고대/삼국 시대/백제 |
집필자 | 김성수 |
소재지 | 서천 옥포리 고분군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431-1![]() |
---|---|
성격 | 고분 |
양식 | 굴식 돌방무덤 |
소유자 | 충청남도 서천군 |
관리자 | 충청남도 서천군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
[위치]
서천 옥포리 고분은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431-1 일원의 화양초등학교 북쪽 구릉의 남쪽 경사면 중하단부에 있다. 서천 옥포리 고분이 있는 지역은 북쪽의 화양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최남단으로, 망천 뒷산이다.
[형태]
서천 옥포리 고분군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장축은 구릉의 경사면과 나란하며, 1기가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조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노출된 석재의 형태로 미루어 볼 때 대형 널돌을 이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확인 가능한 돌방의 구조는 단면 6각형이며, 대형 자연 널돌을 이용하였다. 북벽은 대형 널돌 1매를 세워 축조하였으며, 남벽에는 널길이 구축되어 있다. 동벽과 서벽의 장벽은 돌을 2~3단으로 쌓아 꾸며져 있다. 동벽은 돌방 바닥에서 약 80㎝ 높이까지 자연 널돌 1~2매를 수직으로 세우고, 1매의 석재로 천장의 덮개돌을 괴어서 고임식의 단면을 구축하고 있다. 널길은 길이 80㎝ 정도이며 널방의 동벽과 이어져 곧게 축조되어 있다. 유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현황]
서천 옥포리 고분은 덮개돌이 움직여 널방 내부가 매몰되어 있는 상태이다. 주변에 고분으로 추정되는 함몰지와 석재 등이 있지만 도굴로 인하여 파괴되었다.
[의의와 평가]
삼국 시대 백제 사비기 돌방무덤으로, 서천 지역의 고분 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