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464 |
---|---|
한자 | 舒川 松內里 遺蹟 |
영어공식명칭 | Historic Site Related to seocheon songnae-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 380-14 일원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
집필자 | 김성수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9년 9월 1일~1999년 11월 20일 - 서천 송내리 유적 1차 발굴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0년 2월 2일~2000년 3월 10일 - 서천 송내리 유적 2차 발굴 조사 |
소재지 | 서천 송내리 유적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 380-14 일원![]() |
성격 | 생활 유적 |
소유자 | 충청남도 서천군 |
관리자 | 충청남도 서천군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의 생활 유적.
[개설]
서천 송내리 유적(舒川 芝山里 遺蹟)은 서천-장항 간 도로 확·포장 공사 구간으로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된 생활 유적은 초기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 주거지 28기와 수혈 유구, 경작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과 주거지 내부 구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통하여 볼 때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중반에 해당되는 유적으로 추정된다.
[위치]
서천 송내리 유적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 380-14 일원에 있다. 높이 27.5m의 나지막한 산의 서쪽 사면과 북쪽으로 향하는 구릉 일대에 해당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서천 송내리 유적 1차 조사는 1999년 9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80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원삼국 시대 주거지 26기, 성격 미상의 수혈 유구 9기, 경작지 2개소가 확인되었다. 2차 조사는 2000년 2월 2일부터 3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원삼국 시대 주거지 2기와 조선 시대 움무덤[土壙墓] 2기가 확인되었다.
[현황]
서천 송내리 유적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대부분 [장]방형 혹은 말각방형이며, 기둥 구멍의 배치 양상은 정연성을 보이지 않는다. 내부 시설은 부뚜막과 주혈 등이 확인되었다. 부뚜막은 모두 점토를 사용하여 축조하였으며, 연소부와 연도부가 하나로 연결된 터널형으로 ‘ㅡ’자, ‘ㄱ’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 시설 중 부뚜막 시설 내에서 확인된 솥받침은 석재가 이용되었는데 깊은바리토기[深鉢形土器] 저부가 이용되기도 한 사례가 확인된다. 주거지는 자연 폐기와 화재로 폐기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화재로 폐기된 주거지는 7기 모두 확인된다. 특히, 화재 폐기면 아래에서 많은 유물이 확인되어서 화재가 직접적인 폐기 요인임을 짐작할 수 있다. 출토된 유물로는 깊은바리 토기, 장란형토기(長卵形土器), 원저단경호(圓底短頸壺) 등의 토기류와 철도자 등이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서천 송내리 유적은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초기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의 생활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