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오석리 유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457
한자 舒川 烏石里 遺蹟
영어공식명칭 Historic Site Related to seocheon oseok-ri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434-1 일원
시대 선사/청동기,고대/초기 국가 시대,고대/삼국 시대/백제,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2년 - 서천 오석리 유적 지표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4년 - 서천 오석리 유적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5년 - 서천 오석리 유적 발굴 조사
원소재지 서천 오석리 유적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434-1 일원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공주대학교 박물관 -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신관동 182]
성격 유적
소유자 충청남도 서천군
관리자 충청남도 서천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복합 유적.

[개설]

서천 오석리 유적(舒川 烏石里 遺蹟)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복합 유적이다. 서해안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하여 1992년 지표 조사를 하면서 유적이 확인되었고 이후 공주대학교 박물관이 1994년과 1995년 두 차례에 걸쳐 추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천 오석리 유적은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 13기, 돌널무덤 25기, 독무덤 1기, 원삼국 시대 또는 백제 시대의 움무덤 17기, 독무덤 8기, 백제 시대 굴식 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 1기, 조선 시대의 원형주거지 등이 발굴되었다. 출토 유물은 공주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위치]

서천 오석리 유적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22-1 일원에 해당하며,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령산맥의 말단부로 점점이 형성된 분지형 구릉에 속한다. 오석산에서 북쪽으로 흘러내린 구릉이 다시 독립된 산지를 형성하면서 동서로 길게 늘어진 능선의 서쪽 중간 지점에 해당한다. 현재는 서해안고속도로 서천IC가 있다.

[현황]

서천 오석리 유적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모두 13기이고, 돌널무덤은 25기이다. 돌널무덤은 거의 대부분 유구 자체가 유실되거나 파괴되어 있다. 출토 유물은 제2호와 제10호 돌널무덤 묘실 내에서 채워진 흙에 뜬 상태로 간돌칼편이 수습되었다. 원삼국 시대 움무덤은 17기로 모두 묘광 선은 구체적으로 확인되나 목관 선은 불분명한 것이 많다. 규모는 대체로 3m 내외의 길이로 조성된 것과 2m 내외의 길이로 조성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토기 중에 조형 토기나 대부이중구연호 등이 부장되었다. 백제 시대 돌방무덤은 평천장 유형으로 백제 후기의 분묘가 있다.

[의의와 평가]

서천 오석리 유적은 청동기 시대 주거지와 돌널무덤이 함께 단위 유적으로 남아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초기 국가 시대 후반기의 움무덤과 독무덤이 조성되고, 이후 백제 말기의 돌방무덤이 확인되는 복합 유적이다. 청동기 시대는 송국리형의 문화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원삼국기 후반기에는 서천군 지역에서 비교적 규모 있는 집단이 성장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