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03
영어공식명칭 Termina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철도·버스 노선 등의 시·종착지.

[버스 터미널]

서천군에서 운행하는 버스 터미널로는 서천시외버스터미널과 장항버스정류장이 있다. 서천시외버스터미널서천읍에 있으며, 시외버스 노선만 운행하고 있다. 서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도착하는 주요 노선은 서울남부, 서대전, 군산 노선 등이다. 장항버스정류장은 장항읍에 있으며, 시외버스 노선만 운행하고 있다. 장항버스정류장의 주요 노선은 서울남부, 서대전, 군산 노선 등이다. 장항선 개량화 사업에 따라 장항선의 장항역장항읍에서 마서면으로 옮겨 가게 되어, 장항읍에서는 군민들의 버스 이용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장항버스정류장은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철도 터미널]

서천군 관내에 있는 철도는 장항선이 유일하다. 장항선은 일제 강점기 경남철도에서 건설한 사설 철도가 기원이다. 장항선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지역의 물자를 운송하여 장항항을 통하여 일본으로 반출할 목적으로 건설한 것이었다. 최초의 장항선은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하였으며, 광복 이후 ‘장항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장항선은 원래 서천군 장항읍장항역에서 천안까지 이어진 철도 노선이었다. 2008년 1월 1일 장항선 개량화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장항선이 군산선과 통합되면서 종점이 익산역까지 연장되었다. 장항선의 익산 연장에 따라 기존의 장항역은 2008년 장항화물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장항읍의 장항선 구간은 장항화물선으로 변경되었다. 화물 열차만 운행하다 2021년을 끝으로 장항화물선과 장항화물역이 폐지되었다. 한편, 종착역의 성격을 띤 역으로 장항잔교역이 있다. 장항잔교역은 일제 강점기 장항항을 통하여 경기도와 충청도의 미곡을 공출하기 위하여 건설한 역이었다. 바다 건너 전라북도 군산시의 군산선 군산역까지 연락 업무를 위하여 지어진 역이었으나, 2024년 현재 폐쇄되어 흔적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국가철도공단(https://www.kr.or.kr)
  • 코레일 전국기차역(https://www.letskorail.com)
  • 한국철도공사(https://korail.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