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58 |
---|---|
한자 | 鍾川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종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철 |
전구간 | 종천천 - 충청남도 서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종천천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심동리|종천면 종천리|당정리![]() |
면적 | 27,450,000㎡ |
길이 | 10.5㎞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심동리에서 발원하여 종천면 종천리·당정리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명칭 유래]
종천천(鍾川川)은 냇물이 흐를 때, 또는 마을 땅속에서 가끔 명당의 종소리, 즉 종천(鍾川)이 들린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자연환경]
종천천은 서천군 판교면 심동리의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남류한다. 하천 상류에서는 백골산의 동쪽으로 흐르다가 백골산 남쪽에서 종천저수지로 합류한다. 종천저수지의 총면적은 약 44만㎡이다. 능마산의 동쪽, 종천저수지의 남쪽으로 다시 흘러나와 논을 가로지르며, 황소배산의 오른쪽으로 흐르다가 남서류하여 서해와 합류한다. 종천천은 종천저수지 외에도 장항제, 종천제 등에 합류하여 종천평야와 당정평야를 관개한다. 종천천의 2대 지류의 하나인 율리천은 서쪽의 비인면 동부 지대에서 상당히 큰 곡간 분지(谷間 盆地)를 개석(開析)하였다. 종천천 유역은 대부분 농경지로 이용되며, 인근에 주거 지역이 밀집하여 있다.
[현황]
종천천의 유로 연장은 10.5㎞, 유역 면적은 2745만㎡이다. 2020년 서천군은 종천천을 자연재해 위험 개선 지구로 선정하여 정비 사업을 실시할 계획을 세웠으며, 2021년 정비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정비 사업은 홍수 시 본류 수위 상승에 의한 침수 발생, 저지대 농경지 및 가옥의 내수 침수 발생 등 재해 피해를 예방하고,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2026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