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34
한자 崇井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숭정산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숭정산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황사리|영모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145m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황사리영모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숭정산(崇井山)은 산 중턱에 있던 숭정사(崇井寺)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숭정사는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8세 때 공부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환경]

숭정산기산면황사리영모리에 있으며, 높이는 145m이다. 하얀 차돌 바위로 이루어진 곳에 소나무가 자라는 산이다. 정상부의 지층은 선캄브리아 시대의 화강 편마암과 고생대의 함열계(咸悅系) 규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숭정산 하부에서는 함열계 편마암류도 나타난다. 화강 편마암과 함열계 규암의 지층에서 나타나는 대표 암상은 각각 화강 편마암과 규암이다. 숭정산의 주요 토양은 아산통(雅山統)이다. 아산통은 표토가 양토이고, 적색의 토색을 띠며, 배수가 양호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임상은 소나무림이다.

[역사]

숭정산목은 이색이 쓴 「한산팔경(韓山八景)」 중 숭정암송(崇井巖松)에 나오는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佛宇條)’에 숭정사가 기린산(麒麟山)에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숭정사는 고려 후기에 존재하였으나, 조선 전기에 폐찰되고, 현재는 숭정산 중턱에 터만 남아 있다.

[현황]

숭정산은 충청남도에서 선정한 100대 소나무 숲 중 하나이다. 숭정산에는 문헌서원(文獻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자리하고 있다. 숭정사지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약 660㎡[200여 평]의 규모로 평탄한 대지를 이루고 있다. 숭정사지 아래에는 옹달샘이 있어 1992년 서천군에서 정비하였으며, 숭정사지 내에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의 기와 조각과 자기 조각이 곳곳에 분포한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산림공간정보서비스(https://map.forest.go.kr)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흙토람(http://soil.rd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