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명산[비인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29
한자 月明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월명산[비인면]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월명산[비인면]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295.9m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월명산(月明山)[비인면]은 조선 시대 『여지도(輿地圖)』에 지명이 나타난다. 『동람도(東覽圖)』에는 각 고을의 이름과 고을을 보호하는 진산의 이름이 실려 있는데, 비인군의 진산으로 월명산이 적혀 있다. 정확한 유래는 전하지 않지만, 조선 시대부터 쓰이던 명칭으로 보인다.

[자연환경]

월명산[비인면]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있으며, 높이는 295.9m이다. 동쪽으로 백골산, 남동쪽에 능마산과 종천저수지가 있다. 능마산과 월명산 사이로 성산천이 흐른다. 북서쪽으로는 태매산과 안치저수지가 있다. 서천군에서 봉림산[344.5m]과 천방산[324m], 희리산[326.2m], 문수산[311.2m]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산이다.

월명산의 주요 지층은 선캄브리아 시대 편마암류와 중생대 쥐라기의 대동계 문수산층으로 되어 있다. 편마암류 지층의 대표 암상은 화강 편마암, 주입 편마암 및 안구상 편마암이고, 대동계 문수산층의 대표 암상은 셰일, 사암, 역암이다. 월명산의 주요 토양은 청산통(靑山統)과 덕산통(德山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동계 문수산층의 지층에서는 청산통 토양이 주로 나타나고, 편마암류 지층에서는 덕산통 토양도 나타난다. 청산통의 표토는 양토질이며 토색은 황적색을 띠고 있다. 덕산통의 표토는 사양토이며 토색은 진갈색을 띤다. 청산통과 덕산통 모두 배수가 매우 양호한 것이 특징이다. 월명산 서쪽 사면에서는 대체로 소나무림이 나타나며, 동쪽 사면에서는 침활 혼효림이 주로 나타난다. 일부 지역에서 리기다소나무림이 분포한다.

[현황]

월명산[비인면]의 정상부에 띠를 두르듯이 축조한 테뫼식 산성인 월명산성이 있다. 북서쪽으로 관적곡산성불당곡산성, 서쪽으로 성북리산성, 동남쪽으로 장포리산성선도리산성 등과 연결된다. 서쪽에는 조선 시대 비인현에 쌓은 읍성인 비인읍성이 있다. 동쪽으로는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월명산에 훈일사, 보현사, 현풍사, 성불사 등 여러 사찰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관적사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국토정보플랫폼(https://map.ngii.go.kr)
  • 디지털트윈국토(https://www.vworld.kr)
  • 산림공간정보서비스(https://map.forest.go.kr)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흙토람(http://soil.rd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