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316
한자 元亨甲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9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원형갑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55년 - 원형갑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원형갑 현대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원형갑 한국문인협회 이사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원형갑 수필집 『햇살 솟는 산하』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76년 - 원형갑 평론집 『수필문학의 모색』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원형갑 한국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원형갑 평론집 『문학과 실재의 언어』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원형갑 평론집 『서정주의 세계성』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원형갑 평론분과위원장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원형갑 대한민국예술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원형갑 평론집 『한국 현대시의 주류』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93년 - 원형갑 한성대학교 초대 총장 취임
몰년 시기/일시 2004년 7월 9일연표보기 - 원형갑 사망
출생지 원형갑 출생지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지도보기
거주|이주지 평양시 - 평안남도 평양시
학교|수학지 원광대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신동 272]
묘소 충효공원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궁촌리 산147
성격 문학평론가
성별
대표 경력 한성대학교 초대 총장|한국문인협회 이사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문학 평론가.

[가계]

원형갑(元亨甲)[1929~2004]은 1929년 12월 22일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서 태어났다.

[활동 사항]

원형갑서천군 서천읍에서 태어나 평양에서 성장한 뒤 광복 후 월남하였다. 1955년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58년 『현대문학』에 평론 「앙가즈망과 문학」을 조연현의 추천을 받아 발표하며, 평론가로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59년 「실존과 문학의 형이상학」, 1960년 「해석적 비평의 길」, 1960년 「현실과 문학의 구조」, 1961~1962년 「현대미학의 과제」 등을 발표하면서 작가와 사회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주력하였다. 「반리얼리즘의 가능」을 통하여 리얼리즘 예술론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는 한편, 「포멀리즘과 현상학 사이」 등을 통하여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1960~1966년 경주고등학교와 대건고등학교 교사를 지냈고, 1962년 한국문인협회 이사로 취임하였다. 1972~1980년 여러 대학에 출강하였다. 1981년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임용되었고, 1984년 평론분과위원장에 취임하였다. 1993년 한성대학교 초대 총장에 취임하여 활동하다가 정년 퇴임하였다. 2004년 7월 9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원형갑의 저서로는 수필집 『햇살 솟는 산하』와 평론집 『수필문학의 모색』, 『문학과 실재의 언어』, 『서정주의 세계성』, 『한국 현대시의 주류』 등이 있다. 주요 평론으로는 「반리얼리즘의 가능」, 「반리얼리즘론」, 「포멀리즘과 현상학 사이」,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매력」,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묘소]

원형갑의 묘소는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궁촌리 산147 충효공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원형갑은 1961년 현대문학상, 1979년 한국문학상, 1986년 대한민국예술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