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1313 |
---|---|
한자 | 丘仁煥 |
이칭/별칭 | 운당(雲堂)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경희 |
출생 시기/일시 | 1929년 9월 16일![]() |
---|---|
활동 시기/일시 | 1960년 - 구인환 「동굴주변」 『문예』에 발표 |
활동 시기/일시 | 1962년 - 구인환 「판자집 그늘」과 「광야」 『현대문학』에 수록 |
활동 시기/일시 | 1972년 - 구인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84년 - 구인환 『벽에 갇힌 절규』 제1회 주요섭 문학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94년 - 구인환 예술문화 대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95년![]() |
활동 시기/일시 | 1995년 - 구인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퇴임 |
활동 시기/일시 | 1996년 - 구인환 순수문학 대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2000년![]() |
몰년 시기/일시 | 2019년 10월 9일![]() |
출생지 | 구인환 출생지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산리![]() |
학교|수학지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활동지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묘소 | 구인환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산리 |
성격 | 소설가|국문학자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한국소설가 협회 대표 위원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산리 출신의 소설가이자 국문학자.
[가게]
구인환(丘仁煥)[1929~2019]의 호는 운당(雲堂)이다. 1929년 9월 16일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산리에서 태어났다.
[활동 사항]
구인환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및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1972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임하였다. 1960년 『문예』 소설 「동굴주변」을 발표하였으며, 1962년 『현대문학』에 「판자집 그늘」, 「광야」가 추천되어 문단에 나왔다.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한국문인협회 부회장,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장, 한국현대소설연구회 회장, 한국소설가협회 대표 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학계와 문단 양쪽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서천군 장항읍을 배경으로 한 「기벌포의 전설」은 오늘날 장항의 모습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2019년 10월 9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구인환은 『동굴 주변』 외 140여 편의 중·단편을 썼으며, 장편으로는 『움트는 겨울』, 『일어서는 산』, 『별들의 영가』, 『불타는 서울』, 『동트는 여명』 등이 있다. 『산정의 신화』, 『숨쉬는 영정』, 『벽에 갇힌 절규』 등의 소설집이 있다. 저서로는 『문학개론』, 『한국근대소설 연구』, 『이광수 소설 연구』, 『근대문학의 형성과 현실인식』 등 다수가 있다. 2005년 『운당 구인환 문학 전집』을 27권으로 완간하였다.
[묘소]
구인환의 묘소는 서천군 장항읍 옥산리 생가에서 가까운 언덕에 있다.
[상훈과 추모]
구인환은 1984년 『벽에 갇힌 절규』로 제1회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94년 예술문화 대상, 1995년 국민문화훈장 동백장, 1996년 순수문학 대상, 2000년 대한민국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서천군 장항읍 옥산리 생가 옆에 ‘운당 구인환 선생 문학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