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희망택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54
영어공식명칭 Seocheon Hope Taxi
이칭/별칭 희망택시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경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행 시기/일시 2013년 6월연표보기 - 서천희망택시 운행 시작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농어촌 버스 미운행 마을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운행하는 택시.

[개설]

서천희망택시 는 농어촌 버스 미운행 마을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천군이 운영하는 교통 복지 제도이다. 서천희망택시는 주 2~4일 운행하며, 장날 위주의 평일과 토요일에 운행한다. 이용 요금은 마을회관에서 면 소재지까지는 차량 1대당 100원이며, 마을회관에서 읍 소재지까지는 탑승자 1인당 버스 기본 요금인 1,500원이다. 이후 발생하는 미터기 요금 차액은 서천군에서 지원한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서천희망택시 는 2014년 4월 7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정책 토론회 ‘교통혁신-버스공영제, 100원 택시’에서 서천군수가 ‘오지마을 어르신들의 발 희망택시’라는 주제로 희망택시 우수 사례를 발표한 이후 전국적인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전국 최초로 「지방자치법」을 근거로 마을 택시 운행 및 이용 주민 지원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및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공직선거법」 등에서 제한한 난제들을 해결하여 우수 지자체 선도 복지 행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내용]

서천희망택시 는 서천군 관내의 대중교통 사각 지역 해소와 자가용 운전이 불가능한 고령 인구의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사업이다. 마을 주민들이 협의하여 마을별 전담 택시 1대를 선택하고, 주민들이 1개월간의 운행 시간표를 작성·배포한다. 이후에 주민들이 요청한 일자 및 시간대에 서천희망택시를 운행한다.

서천희망택시 는 고령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 단체의 새로운 대중교통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서천희망택시 제도 지원액은 2013년 4075만 원에서 2016년 1억 695만 원으로 매년 증가하였으며, 운행 횟수도 2013년 23개 마을 5,397회에서 2016년 33개 마을 1만 4147회로 매년 점증하였다. 서천희망택시 사업은 농촌 지역 고령자와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지역 택시 운전사들에게는 추가 수입을 제공한다.

[변천]

서천희망택시 는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형교통모델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2013년 6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되었다. 서천희망택시 운행으로 농어촌 버스 벽지·비수익 노선을 줄일 수 있게 되면서 연간 1억 1800만 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이에 더하여 2015년부터는 서천군 비인면 행복비인후원회에서 서천희망택시 운영 지역에서 제외된 마을을 대상으로 행복택시를 운영한다. 또한, 2022년부터는 열악한 농어촌 교통 환경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들을 위하여 ‘고교생 안심 택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천희망택시 는 농촌 지역 주민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이동권을 보장하는 등 주민들의 편의성을 높이는 좋은 예시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