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826 |
---|---|
한자 | 鍾川貯水池 |
이칭/별칭 | 개복다리지,상좌지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상좌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배만호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6년 10월 21일 - 종천저수지 착공 |
---|---|
준공 시기/일시 | 1962년 5월 31일![]() |
현 소재지 | 종천저수지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상좌리![]() |
성격 | 저수지 |
면적 | 1,200㏊ |
전화 | 041-950-7700[한국농어촌공사 서천지사]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상좌리에 있는 저수지.
[변천]
종천저수지는 1956년 10월 21일 착공하여, 1962년 5월 31일 준공하였다. 종천저수지 주변으로 신검리 북동쪽에 개복다리의 이름을 딴 개복다리마을이 있었다. 개복다리는 고려 시대 돌로 놓은 다리이며, 조선 시대에도 사용되었다. 개복다리 유적지에서 고려 시대 ‘개복사(開福寺)’ 명문이 찍힌 기와가 출토되었다. 개복사지(開福寺址)는 종천저수지 제방과 인접한 구릉지 사면부 및 곡부 지대에 해당한다.
[구성]
종천저수지는 수원공(水源工)[일정한 수혜 구역 내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려고 인위적으로 물을 모아 도수하거나 배수하는 시설] 구분 주 수원이며, 2015년 현재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6.1㎎/L이다. 저수지의 길이는 254m, 높이는 20m이다. 총저수량은 338만 1000㎥이며, 유효 저수량은 335만 3100㎥, 평균 저수율은 62%이다. 유역 면적은 1,200㏊, 수혜 면적은 385㏊, 만수 면적은 50.1㏊이다.
[현황]
종천저수지는 개복다리지, 상좌지라고도 부른다. 자연 계곡수이며, 수심 2~15m인 농업용수를 주로 지원한다. 종천저수지 주변 숲을 활용하여 치유의 숲길을 ‘소나무 소리 쉼터’와 ‘유아 숲 체험원’ 등 4개의 코스로 운영하고 있다. 종천저수지에 주로 서식하는 어종은 토종 붕어와 잉어, 가물치, 메기이다. 2024년 현재 종천저수지는 한국농어촌공사 서천지사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