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22
한자 貯水池
이칭/별칭 제언(堤堰)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만호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인공 수리 시설.

[개설]

저수지(貯水池)는 일정한 구역 내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한 인위적 집수, 도수, 배수 시설이며, 한국농어촌공사 및 기초 자치 단체가 관리한다. 저수지는 유효 저수량에 따라 1종 시설과 2종 시설로 구분하는데, 유효 저수량 30만㎥를 기준으로 하여 이상이면 1종 시설, 미만이면 2종 시설이다.

저수지는 중요한 지표 용수원(地表 用水源)이다. 풍부한 물을 확보할 수 있고, 수온도 흐르는 물보다 높아 농업용수로서 유리하여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고, 상수도·공업용수도 공급할 수 있다. 하천 용수보다 시설비가 비싼 흠은 있으나 관광용으로도 개발될 수 있는 다목적성을 띠어 수자원의 종합적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선 시대 이전에는 막연하게 제언(堤堰)이라 불렀으나, 수리 시설의 기능이 분화하면서 최근에는 보(洑), 방조제(防潮堤) 등과 구분하여 저수지라 부른다. 충청남도 서천군은 1922년부터 서천 수리조합의 설치 논의를 본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그러한 결과 동부저수지[봉선저수지], 서부저수지[흥림저수지] 등을 축조하였다.

[현황]

충청남도에는 900여 개의 저수지가 조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서천군은 19곳의 저수지를 농업에 이용하고 있다. 서천군 내 모든 저수지의 총유효 저수량은 1만 9468.39㎥이다. 19곳의 저수지 가운데 2024년 3월 5일 현재, 축동저수지, 동부저수지, 문산저수지, 종천저수지, 서부저수지, 안치저수지, 주항저수지, 성내저수지, 은곡저수지 등 9곳이 저수량 50만㎥ 이상인 대형 저수지이다.

서천군 내 주요 소류지 및 저수지는 한산면축동저수지·호암저수지·죽촌저수지, 마산면동부저수지·마명저수지, 문산면문산저수지·명곡저수지·은곡저수지, 종천면에 종천저수지·산천저수지, 비인면안치저수지·장포저수지·성북저수지·성내저수지·남장저수지, 서면주항저수지·원두저수지가 있다.

서천군 내 산악 지대와 구릉지의 경계인 경사 전환점은 수많은 하천 중류의 저수지를 동서선(東西線)으로 연결한 지점이다. 동쪽부터 축동지, 봉선지, 신농저수지, 흥림저수지, 종천저수지, 산천제, 장항제, 종천제, 안치저수지, 지장천저수지, 성북제, 주항저수지까지 연결하면 동서선이 된다. 동서선 북쪽은 서천군의 산악 지대이며, 남쪽은 구릉 지대로 나타난다. 서천군 내 저수지는 대체로 해발 고도 10m 내외의 높이에 자리하고 있다. 많은 겨울 철새가 월동을 위하여 서천군 내 크고 작은 저수지를 찾고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https://rawris.ekr.or.kr)
  • 물환경정보시스템(https://water.nier.go.kr)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