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811 |
---|---|
한자 | 韓山場 |
이칭/별칭 | 안장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1173번길 22[지현리 9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성효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26년![]() |
---|---|
현 소재지 | 한산장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1173번길 22[지현리 97-1]![]() |
성격 | 전통 시장 |
면적 | 12,070㎡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전통 시장.
[개설]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한산장을 비롯하여, 서천특화시장, 장항전통시장, 판교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건립 경위]
한산장은 1926년 개설되었으며, 과거에는 필모시와 모시굿 거래를 하는 한산모시장과 함께 지역민의 생필품 구매의 장으로 유명하였다.
[변천]
한산장은 모시조합 활성화 이전에는 여러 가지 물건을 거래하는 장터와, 모시를 거래하는 모시 새벽 시장으로 구분되었다. 한산장을 흔히 안장이라 불렀는데, 성안에 있는 장터라기보다 아낙네들이 물건을 담고 와서 거래하는 작은 시장이나 반짝 시장 같은 성격의 시장이었다. 당시 큰 장은 마산면 신장리에 섰는데, 1900년대 들어 교통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안장이 큰 시장으로 변하였다. 한산장은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1173번길 22[지현리 97-1]로 상권이 옮겨 오게 되었다.
[구성]
한산장의 토지 면적은 1만 2070㎡이며, 매장 면적은 630㎡이다. 판교장과 더불어 모시의 거래가 많다. 지역 내 모시 거래의 80% 이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질 높은 세모시가 주로 거래된다.
[현황]
한산장의 주요 거래 품목은 모시, 곡물류, 마늘, 수산물, 기성복, 잡화이다. 2006년 설립한 한산모시조합의 활성화로 한산모시의 거래가 한산모시조합을 통하다 보니 한산모시 새벽 시장은 자연스럽게 사장되어 현재는 개장하지 않는다. 한산장의 시장 소유 형태는 공설이며, 장날은 매달 1일과 6일이다. 점포 수는 17개, 노점 수는 50개이며, 시장 상인 수는 67명이다. 한산장 터를 중심으로 한산농협, 한산면보건지소, 한산면주민자치센터, 게이트볼장 등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시설이 밀집하여 있고, 근처에 한산공용버스터미널이 있어 지역 중심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