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기술학교 한산캠퍼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94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한산모시길 33[지현리 149-2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19년연표보기 - 삶기술학교 한산캠퍼스 설립
현 소재지 삶기술학교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한산모시길 33[지현리 149-21지도보기
성격 교육 기관
설립자 충청남도 서천군
전화 070-4618-6071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도시 청년들의 지방살이를 지원하는 교육 기관.

[설립 목적]

삶기술학교는 도시 청년들이 시골 마을에 모여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능동적으로 꿈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교육 지원 시스템이다. 삶기술학교 한산캠퍼스는 2018년 도시 청년 32명을 지역에 정착시킨 목포 ‘괜찮아마을’ 프로젝트의 후속 사업이다. 취업난으로 힘들어하는 도시 청년들이 인구 유출로 고민하는 지방 소도시에 정착할 수 있게 지원함으로써 청년의 높은 실업과 지방의 인구 감소 문제를 동시에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 소멸 문제와 청년 취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추진된 정부의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의 일환이다.

[변천]

삶기술학교 한산캠퍼스는 행정안전부와 충청남도, 서천군이 함께 조성한 도시 청년들의 지방살이를 지원하는 청년 캠퍼스이다. 2019년 8월 7일 행정안전부, 충청남도, 서천군청한산면삶기술학교 한산캠퍼스 조성을 위하여 국비 9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시범 운영을 거쳐 전국 지방 소도시로 확대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특히, 서천군은 청년들의 정착을 돕기 위하여 지역 주민들과 함께 캠퍼스 부지로 한산면의 빈집과 유림회관, 오래된 대장간 등 유휴 공간 10곳을 개방하여 도시 청년들이 지역 전통 장인들과 삶 기술을 공유하면서 청년 공동체를 형성하고, 청년 주도로 새로운 직업의 개발까지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삶기술학교의 주요 사업 내용으로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살아가며 유휴 공간을 새로운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기, 도시 청년의 삶 기술과 마을의 자원을 교환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지역 정착 및 정주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역살이 배움학교 운영하기 등을 포함한다. 정규 과정인 ‘한 달 살기’의 경우 기수별 30명의 청년들이 참여하여 기수당 4주를 활동 기간으로 하여 3기에 걸쳐 진행되며, 프로모션 목적의 1박 2일 체험 프로그램[캠퍼스 투어, 삶기술학교 클래스 부분 체험, 네트워킹 등]인 ‘하루 살기’가 월 2회 진행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천군은 전체 인구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청년층의 이탈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 청년들이 농촌에서의 삶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삶기술학교는 새로운 정책적 시도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