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708 |
---|---|
한자 | 金成喜 |
이칭/별칭 | 송당(松堂)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근호 |
출생 시기/일시 | 1847년 8월 14일![]() |
---|---|
수학 시기/일시 | 1858년 - 김성희 가숙(家塾) 입학 |
활동 시기/일시 | 1893년 - 김성희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895년 - 김성희 홍주관찰부 주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898년 - 김성희 경상북도관찰부 주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02년 - 김성희 중추원 의관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05년 2월 - 김성희 국채보상기성회 설치 |
활동 시기/일시 | 1907년 - 김성희 한성덕어학교 교관 재직 |
활동 시기/일시 | 1907년 - 김성희 한성사범학교 교관 재직 |
활동 시기/일시 | 1907년 - 김성희 한성사범학교 교수 재직 |
몰년 시기/일시 | 1925년 7월 21일![]() |
출생지 | 김성희 출생지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149![]() |
거주|이주지 | 김성희 거주지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228![]() |
활동지 | 김성희 활동지 - 서울특별시 |
묘소 | 김성희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
성격 | 관료|운동가 |
성별 | 남 |
본관 | 경주(慶州) |
대표 경력 | 중추원 의관|한성사범학교 교수 |
[정의]
개항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관료.
[가계]
김성희(金成喜)[1847~1925]의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호는 송당(松堂)이다. 아버지는 김노규(金魯圭)이다. 1847년 8월 14일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149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228에서 거주하였다.
[활동 사항]
1858년 가숙(家塾)에 입학하였고, 1893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사, 1895년 홍주관찰부 주사, 1898년 경상북도관찰부 주사를 거쳐 1902년 9월 중추원 의관에 임명된 뒤 1903년 4월 의원 면직되었다. 1907년 한성덕어학교(漢城德語學校) 교관을 거쳐 한성사범학교 교관, 한성사범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1905년 대구에서 있었던 국채보상운동 소식을 듣고 1905년 2월 오영근(吳榮根)·고유상(高裕相)·주한영(朱翰榮) 등과 함께 국채보상기성회(國債報償期成會)를 설치하고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기호흥학회에서 활동하면서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고, 1919년 3·1운동 때에는 많은 사람이 화를 당하자 조선총독부와 내무부장관에게 의견서와 건의서를 제출하였다. 김성희는 선자강(先自强) 후독립(後獨立)을 주장하며 교육 진흥과 식산흥업(殖産興業)에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김성희는 1925년 7월 21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성희는 『대한자강회보』에 「교육설(敎育說)」, 「문명론」, 「독립설(獨立說)」, 「농업에 토지개량」, 「공업설(工業說)」 등, 『기호흥학회보』에 「도덕 교육법」 등 다수의 논설을 수록하였다.
[묘소]
김성희의 묘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