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17 |
---|---|
한자 | 烽南里山城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산80 |
시대 | 고대/삼국 시대/백제,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최병화 |
현 소재지 | 봉남리산성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산80![]() |
---|---|
성격 | 산성 |
양식 | 토축산성 |
크기(높이,길이,둘레) | 420m[둘레] |
소유자 | 충청남도 서천군 |
관리자 | 충청남도 서천군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개설]
봉남리산성(烽南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에 있으며, 남산 남쪽 가까이에 있다. 봉남리 주변은 낮은 구릉이 넓게 굽이지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대동지지』 서천 성지조에서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데 “고읍성 재령취산정 주일천오백사십오척 내유일정 세종시 이기지기측조절 이우금치 기하우유고읍기지(古邑城 在靈鷲山頂 周一千五百四十五尺 內有一井 世宗時 以基地奇側阻絶 移于今治 其下又有古邑基地)”라고 기록되어 있어 봉남리는 옛 읍터일 가능성이 있다.
[위치]
봉남리산성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산80에 있다. 복남리와 옥북리 사이의 야산 정상부[높이 47m]에 있는데, 서쪽에는 댕골산이 있고, 남쪽에는 서태산이 있으며, 동남쪽에는 중태산이 봉남리산성보다 높게 솟아 있다. 북쪽은 남산이 장벽처럼 가로막고 있다.
[형태]
봉남리산성은 둘레 420m의 토축산성(土築山城)이다.
[현황]
봉남리산성 성벽은 대부분 붕괴되어 성벽의 윤곽을 찾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서벽과 북벽 부분에서 5~6m 가량의 회곽도(廻郭道)가 남아 있어 자연지세를 이용한 편축법(片築法)으로 성을 쌓은 것을 알 수 있다. 유물은 다수의 토기편과 기와편이 확인된다. 특히 출토된 ‘설림(舌林)’명 와편은 서천에 있었던 삼국 시대 백제 행정 구역인 설림군(舌林郡)과 동일하여 주목된다.
[의의와 평가]
봉남리산성을 통하여 서천 지역이 백제 시대에는 설림군이고, 조선 시대에는 읍터로 활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