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당곡산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01
한자 佛堂谷山城
이칭/별칭 덕명동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72번길 36-19[성내리 산13-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불당곡산성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72번길 36-19[성내리 산13-1]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포곡식 석축산성
크기(높이,길이,둘레) 1,300m[둘레]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위치]

불당곡산성(佛堂谷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72번길 36-19[성내리 산13-1]에 있다. 불당곡산성은 덕명동산성(德明洞山城)이라고도 부른다. 비인면 동쪽에 높게 솟아 있는 월명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 말단부[높이 140m]와 주변 사면부를 감싸고 있다.

[형태]

불당곡산성은 계곡을 감싸는 둘레 1,300m의 포곡식(包谷式) 석축산성(石築山城)이며, 일부 토축(土築)도 확인된다. 불당곡산성이 있는 지형은 동쪽의 주능선이 남북 양갈래로 나뉘며 덕명동을 감싸는 형세이다.

[현황]

불당곡산성 성벽은 자연 할석을 사용한 석축(石築) 490m를 제외하고는 토축(土築) 형태로 확인된다. 정확한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잔존 상태가 양호하지 않지만 윤곽은 남아 있다. 북벽은 가로 70㎝, 세로 40㎝ 크기의 석재를 1단석으로 놓고 위에는 작은 석재를 놓아 안정감 있게 축조하였다. 성벽은 너비 5m, 높이 1.5m 정도만 남아 있으며, 성벽 1단석 안쪽으로는 폭 1.5m 정도 뒤채움하였다. 성 안쪽은 성벽 축성 재료 확보를 위하여 지형을 굴착(掘鑿)한 것으로 보이며, 굴착 과정에서 성벽 안쪽에 내호(內壕)가 만들어졌다. 동벽과 북벽이 접하는 지점은 좁은 길이 있는데, 유실이 심하다. 서벽 역시 유실이 심하고 일부만 남아 있다. 서남쪽 부분은 계곡 중심지를 경유하는 곳으로 성문과 수구지(水口址)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내는 경사도가 심하고 건물이 들어설 만한 평탄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유물은 격자문(格字文)과 승석문(繩蓆文)[삿자리 모양의 무늬]이 새겨진 단단한 토기편, 기와편 등이 확인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