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면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46
한자 韓山面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2012년연표보기 - 『한산면지』 저술
편찬 시기/일시 2012년 - 『한산면지』 편찬
간행 시기/일시 2012년 - 『한산면지』 간행
간행처 서천문화원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화금서길 29-18[사곡리 62]지도보기
성격 지리지
저자 최병택
간행자 서천문화원

[정의]

2012년 서천문화원에서 간행한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지리지.

[개설]

『한산면지(韓山面誌)』는 2012년 서천문화원에서 간행한 서천군 한산면의 지리지이다. 한산면의 지리, 역사, 문화, 행정, 민속 등의 정보를 수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서천문화원에서는 매년 서천군 읍면을 대상으로 지리지 혹은 읍지 형식의 자료집을 간행하고 있다. 2012년에는 지역 문화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서천군 한산면을 대상으로 하여 『한산면지』를 편찬하였다. 집필은 공주교육대학교 최병택 교수가 맡았다.

[형태]

『한산면지』는 1책 52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내용]

『한산면지』의 부제는 ‘선비의 고장’이다. 권두에는 서천문화원장의 발간사와 서천군수의 축사가 수록되어 있다. 본문은 3장으로 되어 있다. 1장은 총론, 2장은 한산의 마을, 3장은 한산을 대표하는 역사 인물이다. 총론에서는 한산의 지리, 한산의 역사, 한산의 행정과 일반 현황, 한산의 교육, 한산의 전통 산업과 시장, 한산의 전통 문화유산으로 되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대한 제국 시기의 교육 기관, 한산초등학교 한산중학교, 충남애니메이션고등학교[현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를 소개하였다. 전통 산업은 모시의 고장 한산, 한산시장, 소곡주가 있으며, 문화유산으로는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충청남도 무형유산],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舒川 鳳棲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보물], 한산향교(韓山鄕校)[충청남도 기념물]를 수록하였다. 2장 ‘한산의 마을’에는 한산면의 각 동리를 소개하고 있다. 지현1리, 지현2리, 지현3리, 동산리, 유산리, 성외리, 호암리, 죽동리, 고촌리, 종지리, 송곡리, 축동리, 송산리, 원산리, 야인리, 여사리, 나교리, 동지1리, 동지2리, 토산리, 단상리, 단하리, 구동리, 마양리, 온동리, 연봉리, 용산리, 화곡리, 신성리로 되어 있다. 3장 한산을 대표하는 역사 인물로는 이윤경(李允卿)[?~?], 이곡(李穀)[1298~1351], 이색(李穡)[1328~1396], 이종덕(李種德), 이종학(李種學)[1361~1392], 이종선(李種善)[1368~1438], 이계전(李季甸)[1404~1459], 이개(李塏)[1417~1456], 권변(權忭)[1651~1726], 권성(權𢜫)[1653~1730], 맹희도(孟希道)[1337~?], 맹희성(孟思誠)[1360~1438], 이상재(李商在)[1850~1927] 등을 소개하였다.

[의의와 평가]

『한산면지』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서천군 한산면의 행정, 사회, 경제, 문화, 역사인물, 유산 등을 소개하고 있는 중요한 자료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