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335 |
---|---|
한자 | 長項邑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범 |
[정의]
2021년 서천문화원에서 간행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의 지리지.
[개설]
『장항읍지(長項邑誌)』는 2021년 서천문화원에서 발행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의 지리지이다. 장항읍의 지리, 역사, 문화, 행정, 민속, 산업 등의 정보를 수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서천문화원에서는 매년 서천군 읍면을 대상으로 지리지 혹은 읍지 형식의 자료집을 간행하고 있다. 2021년에는 서천군 장항읍을 대상으로 『장항읍지』를 간행하였다. 기벌포문화마당과 공주대학교 연구원이 집필에 참여하였다.
[형태]
『장항읍지』는 1책 42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15㎝, 세로 22.5㎝이다.
[구성/내용]
『장항읍지』의 부제는 ‘금강을 품은 장항’이다. 권두에는 서천문화원장의 발간사, 서천군수의 축사가 있으며 지도와 옛 사진을 수록하였다. 본문은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자연 지리와 인문 지리를 수록하였다. 2장은 역사를 수록하였으며, 선사 시대, 백제 시대, 통일 신라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현대 장항 지역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3장은 문화 유적을 수록하였으며, 선사 시대, 백제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로 나누었다. 4장은 일제 강점기 장항의 역사를 수록하였으며, 장항의 건설 과정과 장항 민중의 삶과 저항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5장은 해방 이후 현대사를 수록하였다. 유적별로 정리되어 있는데, 군산, 장항, 이리 지구 전투 기념비, 오열사 묘소, 장항 지역의 학도의용군 지원, 노희두 의혼비를 기록하였다. 6장은 장항의 공공 기관을 소개하고 있다. 행정 기관, 교육 기관, 금융 기관, 사회단체, 문화 예술 공간, 종교, 산업이 들어 있다. 7장은 성씨와 인물을 수록하였고, 8장은 민속, 전설, 사진과 문화를 정리하였다. 9장은 장항의 마을 이야기를 동리별로 정리하였다. 창선리, 신창리, 장암리, 화천리, 송림리, 옥남리, 옥산리, 성주리, 원수리, 유부도를 수록하였다. 10장은 장항의 발전과 미래 항목이다. 장항국가산업단지, 대안 사업 개원 시대, 신장항 건설 시대, 미래 장항의 성장 동력, 장항 활성화 사업 추진 현황을 정리하였다.
[의의와 평가]
『장항읍지』에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천군 장항읍의 행정, 사회, 경제, 문화생활, 발전 상황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