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72 |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양윤정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구릉.
[개설]
사전적 의미로 고개란 산의 능선에서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뜻한다. 도보(徒步)나 우마(牛馬) 등이 교통의 중심이었던 과거에는 높고 험한 산이 지역을 나누는 경계가 되었다면, 고개는 산으로 나뉜 지역을 연결하는 관문이자 사람과 물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교통의 요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천군은 차령산맥 남단에 있는 남사면(南斜面) 지형에 자리하고 있으며, 북고 남저형의 사면으로 군의 북쪽 산악 지대에서 남쪽으로 낮은 구릉선이 연결되어 있다.
[교통 요충지 역할의 고개]
서천군의 고개 가운데 도보 중심 시대부터 현재까지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고개는 금복현(金福峴), 저현(猪峴), 묵현(墨峴), 부소현(扶蘇峴), 광현(光峴), 일광재[日光峙], 당현(唐峴), 기현(箕峴) 등이 있다. 금복현은 서천군 문산면 천방산에 있으며, 과거 부여 홍산에서 서천군 마산, 한산 지역을 연결하는 저령(猪嶺)[돼지고개]에서 문산면 지원리를 거쳐 구동1리~금복3리[노루지]~수암리[정수동]~줄무덤고개~금덕리[검단]~판교면 시장을 연결하는 큰 고갯길이다. 서천군 내 지역을 연결하던 고개는 일광재와 기현이다. 일광재는 한산 시내에서 일광산을 넘는 고개이며, 오른쪽은 화양면 남성리·대하리로, 왼쪽은 화양면 월산리로 연결되어 있다. 기현은 한산면 죽촌에서 기산면 영모리 문헌서원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주변 지역과 연결되는 교통로 역할을 하는 고개는 저현, 묵현, 부소현, 당현 등이다. 저현은 홍산군·한산군·서천군의 군계를 접한 삼거리 고개인데, 곡치(曲峙) 등으로 불렸다.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 서천군 지도를 비롯하여 조선 시대 제작된 군현 지도에도 저현이 표시되어 있다. 묵현은 비인 시내에서 율리로 연결되는 둔덕고개[둔덕령]를 넘어 판교 심동(深洞)에서 보령 남포(藍浦)로 연결되는 고갯길이다. 부소현은 판교면 복대리에서 부여군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당현은 단상리에서 부여군 양화면·임천면으로 연결되는 길목으로 땅고개라고 불렀다.
[서천군의 고개]
서천군의 대표적인 고개는 까치고개, 기럭재, 상사고개, 시설고개, 여우고개 등이다. 까치고개는 동쪽에 후동리, 북쪽에 수성리, 서쪽에 상좌리가 있다. 까치고개가 있는 우라리는 남쪽에 문수산, 서북쪽에 아굴산이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고개가 발달하였다. 기럭재는 비인면의 성산리나 율리에서 예전까지는 바닷가였던 북쪽 구복리로 넘어가는 곳에 있다. 기럭재가 있는 비인면 성북리는 북쪽의 태메산을 비롯하여 동북 지역이 대부분 구릉지이다.
상사고개는 시초면의 남쪽 지역에 있으며, 신흥리 서북쪽의 금성산을 중심으로 북쪽 지역은 구릉성 산지이고, 남쪽은 길산천을 접하고 있어 충적 평야가 발달하였다. 시설고개는 비인면 관리에 있는 고개이다. 비인면은 북쪽에 월명산, 동쪽에 황소배산, 남쪽에 봉산이 있으며, 동쪽은 대부분 낮은 구릉지로 되어 있다. 여우고개는 구불구불 돌아 있는 고개가 마치 여우 같다고 하여 생긴 이름인데, 오석리에서 서북쪽의 화성리로 넘어가는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